수원시에서 시작된 누리과정 자체 예산 지원이 도내 다른 기초단체로 확대되고 있다.
10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수원시를 비롯한 6개 곳이 누리과정 자체 예산을 편성했거나 편성 여부를 저울질 중이다.
수원시는 지난 7일 보육비가 어린이집에 지급되는 이달 중순까지 도의 누리과정 예산이 편성되지 않으면 올해 시 예산에 편성된 ‘누리과정 운영 예산’ 159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수원시내 누리과정 대상자인 3∼5세 어린이 1만1천339명이 4.5개월 동안 누리과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이다.
안산시도 지난해 말 올해 예산을 편성하면서 관내 3~5세 어린이 9천400여명이 올 한해 누리과정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누리과정 운영예산 260억원을 반영했다.
안성시 역시 올해 예산안에 누리과정 운영을 위해 93억4천700만원을 편성했다.
다만, 이들 3개 시는 도와 도의회의 합의 여부에 따라 예산 투입을 결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들은 “도와 도의회가 이번주까지 합의할 것으로 예상한다. 상황에 따라 시비 투입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한 목소리로 말했다.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으나 편성 여부를 검토중인 시·군도 잇따르고 있다.
평택시는 ▲1월 원포인트 추가경정예산 ▲예산안 변경 사용 ▲예비비 집행 등의 방법을 통해 3개월치 누리과정 예산 51억원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용인시는 예비비로 누리과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며 이천시도 다른 시·군의 움직임에 따라 대책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남 지사는 지난 8일 주간정책회의를 통해 “각 지자체가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해 집행하면 도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예산을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누리과정을 비롯한 도와 도교육청의 올해 예산안은 오는 13일 예정된 도의회 임시회에서 처리된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