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경제위기까지 겹친 상황
연일 자녀·부모 학대 살해 사건
반인륜 범죄에 충격·공포 고조
경찰 “치안 위해요소 적극 대응
도민 안심생활토록 최선 다할 것”
20대 총선 준비를 위한 정치권의 ‘공천 정국’ 본격화와 계속되는 경제 위기 속에 도내 곳곳에서 충격적인 사건이 잇따라 발생해 국민안전에 대한 우려가 일고 있다.
14일 여야 등 정치권 등에 따르면 20대 총선이 한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가 도내 60곳의 지역구 공천에 박차를 가하는 등 선거 정국이 본격화됐다.
이와 함께 북한 미사일 도발 등 안보위기와 함께 내수부진 등 경제 위기까지 맞물려 이목이 쏠리는 반면 어린 자녀를 학대하고 죽음에 이르게 한 일이 연이어 터지는가 하면 시각장애인 아버지를 밀쳐 숨지게 하는 천륜 범죄까지 발생해 도내 곳곳이 충격과 불안의 도가니에 휩싸이고 있다.
실제 부천에서는 생후 2개월 된 딸이 새벽에 운다는 이유로 바닥에 떨어뜨리는 등 때려 숨지게 한 20대 부부가 경찰에 긴급 체포됐고, 지난 12일 평택에서는 계모의 학대를 받아왔던 신모(7)군이 평택 청북면의 한 야산에서 암매장된 채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또 13일 시흥에서는 지난 1월 자신에게 ‘쓰레기’라는 말을 했다는 이유로 시각장애인인 아버지(61)를 밀쳐 숨지게 한 뒤 암매장 한 아들 이모(37)씨 등이 검거됐는가 하면 14일 또다시 오산에서 ‘시끄럽게 한다’는 이유로 5살된 의붓아들을 숨지게 한 20대 계부가 긴급체포되는 등 반인륜적 범죄가 계속돼 불안과 공포가 고조되고 있다.
게다가 경찰의 대대적인 ‘데이트 폭력’ 범죄 일대 단속 등에도 불구, 안양에서의 20대 여성 실종 사건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경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는 등 ‘공천정국’과 ‘경제·안보 위기’ 속에 정작 국민 안전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이수정 경기대 교수는 “아동학대 치사사건과 존속살해의 경우 가정 내에서 발생하지만 성격이 다르다”며 “아동학대 사건은 신고의무가 있는 사람이나 주변에서도 학대를 남의 집 일이라 생각하지말고 적극적으로 신고해야 한다. 또 존속살해의 경우에는 노인복지와 연관된 문제로 양육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제도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경찰청 관계자는 “생명을 중시하는 한국 윤리를 볼때 가족에 대한 개념이 많이 옅어진 느낌인데 이는 빠른 경제발전 뒤에 있는 슬픈 현실이고, 핵가족이 야기한 비극이라고 생각된다”며 “도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각종 치안위해요소에 적극 대응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내에서 지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존속사건은 지난 2012년 220건(존속살해 10건·존속상해 등(폭력) 210건)을 비롯해 지난 2013년 253건(9건·244건), 2014년 282건(11건·271건)으로 매년 30여 건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