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올해 홍수 예방을 위해 513억 원을 투입, 고양시 박재궁천 등 도내 24개 시·군의 소하천 55개 지구(총 연장 17㎞)를 정비한다고 24일 밝혔다.
소하천 정비는 평균 하폭 2m, 총 연장 500m 이상, 통상 유역면적 10k㎡ 이내의 소하천을 대상으로 저수로, 호안공 등 수해 예방과 수계확보용 구조물을 정비하는 사업을 말한다. 단면이 좁은 소하천의 경우 유속이 빠르고, 집중호우 시 상류부에 유입되는 토석류가 쌓여 주변에 큰 피해를 끼칠 위험이 크다.
도는 앞서 당초보다 많은 55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으며, 올해 고양시 박재궁천, 용인시 유방천, 안산시 벌말천 등 55개 지방하천의 제방 보강과 소하천 가꾸기 사업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용인시 평촌천 등 11개소는 수해 피해가 없도록 우기 전 구조물, 호안공 등의 주요공정을 완료하고, 남양주시 도심천 등 9개소는 모든 정비를 마칠 계획이다.
성남시 이매천 등 나머지 23개 구간은 설계를, 용인시 유방천 등 21개 구간은 보상을 추진한다.
변영섭 도 하천과장은 “소하천 정비사업은 도민의 생명 재산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우기전에 주요공정이 완료 될 수 있도록 관리 감독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밝혔다.
/의정부=박광수기자 ks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