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은 최근 수출기업의 다양한 니즈를 종합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수출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플랫폼 확충 방안’을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신보는 수출 역량별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도입과 무역금융 보증제도의 수출기업 친화적 개편 및 수출기업 범위 확대, 수출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등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먼저 수출중소기업을 수출역량에 따라 ‘수출희망→수출진입→수출확장→수출주력기업’으로 분류, 단계별 특성을 반영해 맞춤형으로 보증을 지원하게 된다.
특히 수출실적이 없어도 수출의향과 계획, 수출잠재력 등이 확인되는 기업을 대상으로 ‘수출희망기업에 대한 특례보증’을 신규 도입,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수출시장 진입과 수출 저변확대를 지원한다.
또 오는 2021년까지 수출실적 100억원(1천만불) 이상 기업 100개 이상 육성의 ‘수출스타-100’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수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예비 수출스타기업’으로 선정해 3년간 중점 지원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향후 5년 동안 매년 20개 내외의 ‘수출스타기업’을 배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수출규모별 맞춤형 지원과 함께 무역금융 관련 보증 역시 수출기업 친화적으로 개편하고, 수출기업의 범위를 확대해 국내 U턴기업, 해외법인의 국내 투자기업 등에 대해서도 수출기업에 준하는 우대사항을 적용하는 한편 수출 기업의 역량 단계별 맞춤형 비금융 서비스도 확대한다.
서근우 신보 이사장은 “장기 부진의 늪에 빠진 수출기업에 대한 전방위 지원을 위해 수출기업 종합지원 방안을 마련했다”며 “이를 통해 수출기업이 우리 경제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