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추사체 완성하기까지… 금석학을 탐구했던 김정희의 발자취

진흥왕순수비 확정 200주년
40여점 유물 4부로 나눠 전시

 

과천 추사박물관, 내일부터 ‘추사금석’ 특별기획전 개최

과천시 추사박물관이 오는 5일부터 ‘추사금석(秋史金石)’을 주제로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북한산 비봉을 답사한 후 북한산 진흥왕순수비임을 확정한 지 올해로 200주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기 위해 열리는 전시회는 조선의 금석학을 학문적 반열에 올려놓은 추사 김정희의 금석학 연구를 집중 조명한다.

총 40여점의 유물을 4부로 나눠 추사가 금석고증을 통해 한중 서예사를 정리한 것과 이를 자신의 서체에 어떻게 적용 했는가를 살필 수 있다.

제1부 ‘조선 금석학의 출발’은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탁본을 비롯해 추사가 남긴 순수비 발견기와 심정기, 추사가 쓴 ‘진흥북수고경(眞興北狩古境)’, ‘고구려고성각자’ 등을 선보인다.

제2부는 ‘한중 금석학의 교류’로 조선과 청나라 학자들은 금석 탁본을 교류하며 금석학을 실사구시의 핵심으로 끌어올렸는데 옹수곤이 추사, 홍현주 등 여러 조선 학자들에게서 받은 금석 탁본을 통해 비문을 판독하고 평가한 ‘해동금석영기’, 조인영 친필본 ‘해동금석존고’, 유희해의 ‘해동금석원’을 볼 수 있다.

제3부 ‘서체 고증’에선 추사가 고증, 소장한 자료를 선보인다. 추사가 소장했던 ‘한 보각송’, ‘취옹정기’, ‘왕왕묘비명’, 옹방강의 ‘장천비 임모첩’ 등이 전시된다.

제4부 ‘금석과 추사체’에는 ‘삼사탑명(三師塔銘)’ 등이 선보인다.

‘삼사탑명’은 연담 유일(1720~1799), 백련 도연(1737~1807), 완호 윤우(1758~1826)로 이어지는 대둔사의 법백을 살필 수 있다.

이 유물은 김정희 해서의 표준이 되는 중요자료이다.

유관선 추사박물관장은 “추사 김정희 선생은 철저한 서체 고증, 끊임없는 탐구와 임모로 독창적인 추사체를 남겼다”며 “이번 추사박물관 가을기획전은 추사의 금석학에 대한 탐구가 어떻게 독창적인 추사체로 발전할 수 있었는지를 살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과천=김진수 기자 kjs@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