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인천소방본부장 직급 상향 및 직제 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국회의원(남동갑)은 지난 14일 안전행정위원회 국정감사를 통해 “현재의 지역소방본부장의 직급을 격상시키고 부본부장 직제를 신설해 각종 재난·사고의 신속한 대응 및 현장지휘체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인천의 경우 서울·경기보다 낮은 본부장 직급(소방감)을 소방정감으로 격상하고 차상급 부본부장 직제를 신설해 재난현장의 지휘 및 행정대응의 공백을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방본부장은 ‘긴급구조통제단장’으로서 재난현장의 지휘·통솔권한을 갖고 있지만 직급이 현장 활동에 참여하는 군이나 경찰 등 유관기관 단체장보다 낮아 일사분란한 현장지휘권 확립에 어려움이 계속 제기돼 왔다.
또 소방본부장과 과장 사이에 중간계급이 없다보니 본부장 부재 시 차상급자의 현장 및 행정대응의 공백이 발생해 현장 지휘통제의 조정과 유관기관과의 업무협의 등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도 드러냈었다.
소방은 지난 1992년 광역자치 소방체계로 개편 이후 20여 년새 소방수요가 1천% 이상 급증했고 단순 화재진압에서 총체적 국가재난대응으로 핵심역량과 중요성이 커졌지만 직제는 그대로 유지돼 직제 조정의 필요성이 더욱 큰 상황이다.
박 의원은 “소방의 역할이 과거 단순 화재진압에서 벗어나 이제는 국가 모든 재난의 최일선에서 대응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신속한 현장지휘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도 하루빨리 직급 및 직제조정을 통해 시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재난대응구조를 갖춰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정희기자 r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