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지난 2007년 부터 기획·추진해 온 GWDC(구리월드디자인시티) 사업이 최근 행자부 지방재정 중앙 투자사업 심사에서 ‘선 외자 유치 입증 필요’ 등을 이유로 반려됐다.
14일 구리시에 따르면 최근 개최된 2016년 제4차 행자부 지방재정 중앙 투자사업 심사에서 GWDC사업 관련 심사가 반려됐다. 앞서 구리시는 지난 2014년 7월부터 지난해 까지 5차례 중투심에 상정했으나 모두 ‘재검토’의견으로 처리됐다.
중투심은 이번 심사결과 내용란에 ‘종전 중앙투자심사 재검토 요건 등 검토 필요’라고 기재하고 반려했다.
이는 지난해 5차 심사때 재검토 의견 보완 사항이 이행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당시 중투심은 ▲외국인 투자의향과 투자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입증 ▲외국인 투자와 관련해 총 사업비에 대한 투자자별 지분관계를 명확히 해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 이행 등을 지적했다.
그러나 외국 투자자들의 선투자 약속이 이행되지 않고서는 행자부의 중투심 통과는 불가능해 사실상 사업 무산이 불가피하다는게 지배적인 관측이다.
당초 박영순 전 시장이 2014년 10월 미국 베인브리지캐피탈과 20억 달러의 투자협약 양해각서를 맺는 등 총 54억 달러(약 6조2천170억원)가량의 투자금을 약속받았다고 밝혔으나 아직까지 투자가 이행되지 않고 있다.
시는 전문가 및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 실질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GWDC 조성사업 추진 대책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대책위원으로는 시장을 비롯해 시의원 2명과 구리도시공사 사장, 특히 당초 이 사업을 구상했던 박영순 전 시장 재임때 GWDC 유치를 위해 구성된 시민단체인 디자인시대 공동대표 3인과 GWDC 국내자문위원회 NKAB 위원장도 포함시키기로 했으며 오는 21일 첫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백경현 구리시장은 지난 7월 본지와 인터뷰에서 “이번에도 행자부 심사를 통과하지 못한다면 시민들에게 개발협약서(DA)를 공개하고 추진이 되지 않고 있는 원인과 책임을 밝힌 후,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계약 변경 등 다양한 방안을 찾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구리시와 구리도시공사는 GWDC 사업 추진 이래 2010년부터 올해 5월 말까지 총 집행예산이 103억7천400만원에 이르고 있으며 이와 관련, 감사원은 ▲개발체결 과정 ▲개발협약내용에 관한 문제점 ▲토지매입시기 및 투자계획 불명확 등을 지적하고 이에 대해 조치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구리=이화우기자 lh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