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11·3 부동산대책’으로 주택시장에 관망세가 확산하면서 11월 주택거래량이 한 달 전보다 5.3%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1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1월 주택매매거래량은 10만2천888건으로 전월인 10월보다 5.3% 줄었다.
주택거래량은 11·3 부동산대책이 겨냥한 지역에서 많이 줄었다.
서울은 지난달 주택거래량이 1만9천962건을 기록해 10월보다 11.0% 감소했으며, 지난 부동산대책에서 가장 강한 규제가 가해진 강남·송파·서초구 등 ‘강남 3구’는 주택거래량이 10월보다 17.2% 줄어든 2천848건이었다.
경기지역 지난달 주택거래량은 2만7천372건으로 10월에 견줘 8.6% 감소했고, 세종은 496건으로 12.2%, 부산은 9천947건으로 2.6% 줄었다.
다만 11월 주택거래량은 지난해 같은달(9만7천813건)보다는 5.2% 늘었다.
지난해와 올해 주택공급이 늘어나면서 주택 자체가 많아진 영향이 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주택거래량을 모두 합하면 96만4천468건으로 주택거래량 기록이 새로 쓰인 작년(110만6천여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2.8% 감소했다.
11월 주택거래량을 주택유형별로 나누면 아파트가 6만8천816건, 연립·다세대주택이 1만9천483건, 단독·다가구주택이 1만4천589건이었다.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주택은 10월보다 7.3%와 3.6% 줄었고 단독·다가구주택은 2.8% 증가했다. 작년 11월과 비교해서는 아파트는 6.1%, 연립·다세대주택은 4.2%, 단독·다가구주택은 2.2% 늘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