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억대 연봉 선수 158명 ‘역대 최다’‘키’ 장민익 207㎝·김성윤 163㎝

숫자로 본 2017 KBO리그

 

2017시즌 프로야구 개막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KBO리그 2017시즌 시범경기는 3월 14일에 시작하고 정규시즌은 같은 달 31일에 막을 올린다.

올 시즌 등록 선수는 614명에 이른다. 억대 연봉 선수는 158명으로 역대 최다다.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를 거쳐 친정으로 돌아온 이대호(35·롯데)의 연봉은 25억원이다. 토종 선수 중 최초로 개인 연봉 20억원대를 기록하며 1위를 기록했다.

리그 최고의 오른손 투수 더스틴 니퍼트(36·두산)가 올해 받는 210만 달러(약 24억원)는 역대 KBO리그 외국인 선수 중 최고 연봉이다.

삼성 라이온즈의 신인 김성윤의 키는 163㎝로 리그 최단신 신기록을 세웠다. 최장신인 장민익(26·두산)은 207㎝다.

최고령인 최영필(KIA)은 최연소인 이재용(NC)·김석환(KIA)의 아버지뻘이다.

올 시즌 프로야구 등록 선수와 관련한 숫자를 정리했다.

▲ 17세 11개월 3일 = 역대 KBO리그 최연소 타이기록을 세운 이재용(NC 다이노스), 김석환(KIA 타이거즈)의 나이.

▲ 42세 8개월 23일 = 최고령인 최영필(KIA)의 나이.

▲ 158(명) = 역대 최다 인원을 기록한 억대 연봉 선수 수. 지난해보다 10명이 늘었다. 158명의 억대 연봉 선수 중 10억원 이상은 11명, 15억원 이상은 4명이다.

▲ 163(㎝) = KBO리그 최단신 선수 신기록을 세운 김성윤(삼성)의 키.

▲ 183(㎝) = 등록선수614명의 평균 키.

▲ 207(㎝) = 최장신인 장민익(두산)의 키.

▲ 614(명) = 2017 KBO리그에 등록된 총 선수 수.

▲ 150만(달러) = 외국인 타자 최고 연봉을 받는 윌린 로사리오(28·한화)의 연봉.

▲ 210만(달러) = 역대 KBO리그 외국인 선수 중 최고 연봉을 기록한 니퍼트의 연봉.

▲ 1억3천883만(원) = 외국인·신인 선수를 제외한 리그 평균 연봉.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한화 이글스의 평균 연봉이 1억8천430만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가장 높다.

▲ 2억3천987만(원) = 역대 최고를 기록한 구단별 연봉 상위 27명 기준의 평균 연봉. KBO리그의 실질적인 평균 연봉이라고 볼 수 있다. 한화(3억4천159만원), KIA(3억1천837만원), 롯데(3억707만원) 세 구단은 3억원 이상의 평균 연봉을 기록했다.

▲ 8억(원) = 역대 최고 연봉 인상 금액 타이를 기록한 최형우(34·KIA)의 연봉 인상 금액. 최형우는 지난 시즌을 마치고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어 삼성에서 KIA로 이적했다. 최형우의 연봉은 지난해 7억원에서 올해 15억원으로 올랐다.

▲ 15억(원) = 11년 차 최고 연봉 신기록을 세운 양현종(29·KIA)의 연봉.

▲ 25억(원) = 국내 선수 중 KBO리그 최초로 개인 연봉 20억원대를 기록한 이대호의 연봉. 김태균(한화·16억원), 양현종(KIA)·최형우(삼성·이상 15억원), 윤석민(KIA·12억5천만원)이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