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합참 “SLBM 기술 적용 신형 고체 IRBM”

北 미사일 냉발사 체계 적용
궤도형 이동식 발사대 첫 식별
한국군 ‘킬 체인’ 무력화 우려

군 당국은 북한이 전날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기술을 적용한 신형 고체추진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이라고 평가했다.

합참의 한 관계자는 13일 언론 브리핑에서 ‘북한 미사일에 대해 무수단급 개량형에서 신형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로 정보 판단이 바뀌었느냐’라는 질문에 그같이 답변했다.

그는 “북한 김정은이 지난해 8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발사를 토대로 사거리를 연장한 지상 발사 미사일 개발을 지시한 개연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면서 “북한은 SLBM을 토대로 지상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고 분석한다”고 말했다.

합참 관계자는 “이번 발사에 이용된 이동식 발사대는 무한궤도형 발사대로 확인됐다”면서 “냉발사체의 이동성과 안정성을 확보했다고 하는데, 냉발사 체계를 적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냉발사 체계는 원통형 발사관에서 미사일이 튀어나와 공중에서 점화되어 발사되는 방식이다.

지난해 4월 초 발사에 성공해 ‘북한판 패트리엇’으로 불리는 KN-06(번개5호) 지대공유도미사일도 냉발사 체계를 적용했다. 우리 군은 이번에 북한군이 보유한 무한궤도형 이동식 발사대를 최초 식별했다.

무한궤도형 발사차량은 들판이나 하천, 경사진 곳을 자유자재로 고속 주행할 수 있어 언제, 어느 곳에서나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동성과 은밀성이 있어서 우리 군의 ‘킬 체인’을 무력화할 우려도 제기된다.

군 관계자는 고체 연료 사용 여부에 대해서는 “고체 연료로 판단한다”면서 북한이 주장한 추진체 단 분리 여부에 대해서도 “작년 8월 일부 성공한 SLBM 처럼 단 분리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연합뉴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