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행들이 구조조정이 필요한 부실기업을 찾아내기 위한 신용위험평가에 본격 착수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지난달 시작한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를 오는 7월 말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이 기업신용위험도를 A∼D등급의 4단계로 분류한 뒤 하위 등급 기업의 퇴출을 유도하게 된다.
C∼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들은 즉시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신청해야 한다.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채권금융기관들은 여신 회수 등의 불이익을 줄 수 있다.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신용공여액)이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는 매년 상반기에, 신용공여액 50억원 이상인 중소기업 평가는 하반기에 이뤄진다.
지난해에는 한진해운·현대상선·STX중공업 등 대기업 32곳이 구조조정 대상 업체로 선정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채권은행의 작년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분석해 보니 일부 은행들이 평가를 관대하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며 “올해는 평가 내용을 꼼꼼하게 들여다보겠다고 은행들에 통보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올해 하반기부터는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신용위험 평가모형과 운영 방식 자체를 바꾸는 방안을 논의한다.
이에 따라 정해진 새 기준은 내년 평가 때부터 적용된다.
올해 신용위험평가에서 신용공여액이 50억원 이상인 해운기업 100곳 이상도 전수 조사한다. 해운기업에 대해서는 현금흐름 등 상황이 좋아도 세부 신용위험평가를 하기로 했다.
해운업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6월 말 현재 360%로 전 업종 가운데 가장 높다.
금감원은 올해 신용위험평가는 대기업보다 부실기업 명단에 오르는 중소기업이 많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지난해 신용위험평가 때는 구조조정 대상(C∼D등급)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이 176곳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몰아쳤던 2009년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았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