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쌀이 사상 첫 해외원정길에 오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한국·중국·일본 및 아세안의 비상 쌀 비축기구인 애프터(ASEAN 3 Emergency Rice Reserve·APTERR)를 통해 우리 쌀750t을 캄보디아, 미얀마 등에 원조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지원되는 쌀은 캄보디아행 250t, 미얀마행 500t 등 총 750t이며, 광양항을 출항해 이달 말에서 다음달 중순 사이 캄보디아 시아누크빌(Sihanoukville) 항구 및 미얀마 양곤(Yangon) 항구에 도착, 애프터 사무국을 통해 인도된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19일 선적 기념식을 연다.
애프터는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간 쌀 비축물량을 미리 약정·비축하고 비상시 약정물량을 판매·장기차관·무상지원하는 국제공공비축 기구다.
원조되는 쌀은 캄보디아, 미얀마 등 현지에 1년간 보관될 예정이며, 보관 기간에 비상 상황 발생 시 재해구호용이나 빈곤퇴치용으로 캄보디아 및 미얀마 국민에게 지원된다.
정부는 2017~2018년 애프터 무상원조사업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며, 현재 추진 중인 식량원조협약(FAC) 가입을 완료하는 대로 내년부터 식량원조협약에 따른 대규모 쌀 현물원조(연간 460억원 규모)도 할 계획이다.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은 기념식 전 배포된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원조가 비록 소규모로 이뤄지지만,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발돋움한 우리나라가 해외에 쌀 원조를 개시하는 역사적인 순간”이라며 “앞으로 쌀 지원을 매개로 수원국과의 국제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동시에 해외 원조 확대를 통해 국내 쌀 수급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