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팍팍한 도시생활… 젊은층, 농촌으로 발길

귀촌인 총 47만5489명… 전년비 1.9% 증가
20∼30대 51.2% 차지… 30대가 가장 많아
취업난·경제적 어려움 등이 귀촌 부추겨
전세난·비싼 집값 등 주거난도 移住에 한몫

2016년 기준 귀농어·귀촌인통계

지난해 도심에서 농촌으로 간 사람 중 20~30대 젊은층 비율이 50%를 넘어섰다.

29일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가 공동 발표한 ‘2016년 기준 귀농어·귀촌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촌인은 총 47만5천489명으로 전년보다 1.9%(8천711명) 증가했다.

귀촌가구는 전년보다 1.6%(5천99가구) 늘어난 총 32만2천508가구였다.

귀촌인은 한 지역에 1년 이상 거주한 사람이 읍·면 농촌으로 이동한 사람으로 학생, 군인, 직장근무지 이동으로 인한 일시적으로 이주한 경우는 제외된다.

과거에는 귀촌인 개념에 ‘전원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는 조건이 있었지만, 지난해부터 이 조건이 빠지고 목적에 상관없이 농촌으로 내려간 이들을 모두 포함하게 됐다.

연령대별 구성비를 보면 20대 이하(26.3%), 30대(24.9%)가 전체 귀촌인의 51.2%를 차지했다. 가구주 연령대도 30대(26.4%)가 가장 많았으며 40대(19.4), 50대(18.8%), 20대(18.1%) 등 순이다.

정부는 도심에서의 어려운 주변 환경 탓에 농촌으로 떠나는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도시에서 경제적 여건이 어렵고, 취업난 등으로 농촌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농촌에서 생활환경이 많이 개선되고 6차산업 활성화 등이 추진된 점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부가 이날 발표한 귀촌인통계에는 단순 농촌 이주 인구뿐 아니라 전세난, 비싼 집값 등 주거난에 수도권 외곽으로 밀려나거나 신도시 등으로 이주한 가구까지 포함돼 있어 정확한 현황 파악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귀농인은 귀촌인에 비해 적지만, 전년 대비 7.5% 늘어난 1만3천19명으로 집계됐다.

귀농인은 한 지역에 1년 이상 살던 사람이 농촌지역(읍·면)으로 옮겨 농업경영체등록명부나 농지원부, 축산업등록명부에 이름이 올라간 이로, 농촌에 자리를 잡고 농업 분야에 종사하거나 겸업하는 것을 의미한다.

귀농인의 평균 연령은 54.2세로 0.2세 높아졌다.

50대가 40%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60대(25.4%), 40대(18.3%)가 뒤를 이었다.

귀농가구도 7.7% 늘어난 1만2천875가구였다.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