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안재홍 생가 터 잘못 지정”… 확인 나선 평택시

후손들 “現 생가는 숙부 주택”
새로 밝혀진 생가 터는 폐허 상태
市 “역사학자 검증절차 등 작업”

평택시는 최근 고덕면 두릉리에 소재한 독립운동가 민세 안재홍(1891∼1965년) 선생의 생가 터가 잘못 지정됐다는 후손들의 주장에 따라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고 15일 밝혔다.

㈔민세안재홍선생기념사업회는 후손들의 증언을 토대로 지난 1992년 12월 31일 경기기념물 제135호로 지정된 생가(두릉리 646)는 숙부(안태섭)가 살던 주택으로 민세 선생이 1913년 일본 와세대대학 유학 후 돌아와 분가해서 살다 일제 식민사관에 맞서 ‘조선상고사감’ 등을 저술한 곳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생가는 이 곳에서 직선거리로 60여m 떨어진 두릉리 611의1∼2로 아버지와 작은아버지가 살던 집이라는 것이다.

현재 생가 터의 본채는 없어졌으며 행랑채와 우물터만 남아있는 폐허로 남아있고 건축자재까지 쌓여있는 채로 방치되고 있다.

이 동네에 살고 있는 후손들은 이 같은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 이제까지 정식으로 이의를 제기하지 않아 그동안 방치돼 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기념사업회는 지난해 중순쯤 고덕국제신도시 택지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이 같은 사실을 알려 생가 터 보존을 최종 결론지었다.

또 오는 10월 26일에는 시 등의 후원으로 문화재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고덕국제신도시 민세 안재홍 실재 생가의 문화재 지정 필요성과 활용방안’이라는 학술대회를 계획하고 있다.

기념사업회 관계자는 “LH가 새로 밝혀진 생가 터와 현 생가(숙부 주택)를 모두 존치하기로 결정했다”며 “학술대회에 이어 문화재 조사와 지정을 서두르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민세 생가가 잘못 지정되었다는 말은 나돌았지만 기념사업회 측에서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아 본격적인 검증절차가 이뤄지지 않았었다”며 “이번 기회에 역사학자의 검증절차와 후손들의 진술 등을 통해 생가 터를 확실히 마무리 짓겠다”고 밝혔다.

한편 안재홍 선생은 일본 유학시절 학우회를 조직해 독립운동에 가담했고 귀국 후 조선일보 주필 및 사장 등을 역임하면서 언론·교육활동을 통한 민족계몽과 독립사상으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평택=오원석기자 ows@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