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시작된 경색된 남북관계로 인해 인천 대북교류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28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문재인 대통령의 인천지역 공약인 ‘서해평화협력벨트 조성’과 연계해 강화 교동 평화산업단지 조성, 남북 공동어로·수산업 개발 협력, 한강 하구 공동이용 등의 대북교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교동평화산업단지는 강화군 교동면에 3.45㎢ 규모로, 남측 토지와 북측 노동력을 결합한 생산단지를 조성, 개성공단과 남측 중간에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남북 공동어로 사업은 서해5도 주변에 평화수역을 설정해 남북 어민이 함께 조업할 수 있도록 해 북방한계선(NLL) 해역에서 우발적 군사 충돌 예방과 황금어장인 NLL 해역에서 조업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한강하구 공동이용은 임진강∼한강∼강화도∼예성강 입구∼교동도로 이어지는 이 일대의 문화·역사·생태자산을 활용, 남북교류와 평화관광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하지만 이 사업들은 남북관계가 개선돼야 추진할 수 있는 것으로 현재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잡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인도적인 지원사업과 학술·스포츠 교류사업도 어려운 상황이다.
시는 경기도·강원도와 북한 말라리아 예방·치료사업을 공동 추진하기 위해 지난 5월 26일 통일부로부터 대북접촉 승인도 받았지만 북한 당국이 유엔 대북제재 결의 등을 이유로 면담 일정을 연기하는 바람에 사업이 지연됐다.
내년 고려 개국 1100주년을 맞아 추진 중인 남북 국제학술회의도 돌파구를 찾지 못하기는 마찬가지다.
고려 수도였던 개성과 몽골 침략기 수도였던 강화의 궁궐터·성곽에 대한 발굴·재건을 통해 고려의 역사성을 재조명하고 역사문화유산 도시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시의 계획이 구상으로만 끝날 가능성도 있다.
스포츠 교류 역시 지난 2015년 2월 인천유나이티드FC와 평양4·25축구단의 친선경기를 끝으로 명맥이 끊긴 상태다.
시 관계자는 “대북교류 사업은 당장은 어려워도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의외로 빠르게 진전될 수 있다”며 “인천이 남북교류의 전진기지인 만큼 정부와 긴밀하게 협의해 교류사업들을 차근차근 준비해 놓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