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환경단체가 ‘대규모 갯벌 매립시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영종2지구에 대한 경제자유구역 해제를 요구하고 나섰다.
12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인천경제청은 오는 2031년까지 인천공항고속도로 양옆에 있는 영종도 북동쪽 공유수면 393만㎡를 메워 영종2지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올해 정부의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에 영종2지구를 반영하고 실시계획 수립을 거쳐 오는 2021년 부지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과 가까운 경제자유구역의 이점을 최대한 살려 관광·레저·항공물류·상업·주거 기능을 갖춘 친환경 복합도시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총 사업비 약 1조981억 원을 투입, 갯벌 매립과 기반시설 등을 조성한다.
하지만 지역 환경단체는 수 년 째 인천경제청의 이 같은 계획에 반발하고 있다.
그동안 인천국제공항과 준설토투기장 건설 등으로 영종도 일대의 조류 흐름이 바뀌어 주변 갯벌에 영향을 끼치는 상황에서 영종도 동쪽 갯벌까지 매립하면 조류 흐름이 단절·왜곡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영종2지구는 전 세계에 3천여 마리 밖에 없는 저어새 번식지인 수하암과 인접해 있고 멸종위기종인 알락꼬리마도요를 비롯해 2만 마리가 넘는 도요물떼새들의 중간 기착지다.
인천녹색연합 관계자는 “인천은 기존의 경제자유구역도 사업성 결여로 장기간 개발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갯벌까지 매립하며 추가 사업을 진행하는 게 설득력이 없다”며 “경제자유구역의 문제점은 투자용지 부족이 아니라 오히려 토지 수요를 과다하게 산정·공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천경제청은 이런 지적에 대해 갯벌 매립에 따른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고 생태계 보전을 고려해 개발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해당 지역이 진나 2003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영종하늘도시, 미단시티, 한상드림아일랜드 등 인근 경제자유구역 개발과 연계하면 지금이 최적의 개발시점이라는 논리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영종2지구 인근의 강화도 남단 갯벌과 영종도 남단 갯벌 생태를 고려해 바닷물이 유통이 가능하도록 수로 기능을 확보하겠다”며 “앞으로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환경피해 예방을 최대한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영종2지구는 해양수산부의 공유수면 매립기본계획 반영이 결정되면 경제자유구역위원회의 개발계획 최종 심의를 받게 된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