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인 2018년 남북정상회담의 합의 사항을 구체화하고 이행하기 위한 분야별 남북회담들이 5월에 줄지어 진행된다.
정부는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를 ‘남북정상선언 이행 추진위원회’로 개편, 이번 주 추진위 첫 회의를 열고 ‘판문점 선언’ 후속조치를 본격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통일부는 조명균 장관 주재로 29일 오후 ‘판문점 선언’ 후속조치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조명균 장관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합의를 어떻게 잘 이행해 나가느냐. 그냥 이행하는 게 아니라 속도감 있게 압축적으로 잘 이행해 나가느냐. 이행 과정에서 난관이 있더라도 뒤로 돌아가지 않고 계속 나아갈 수 있도록 해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합의 사항을 차질없이 이행하기 위해 조만간 장성급 군사회담, 적십자회담, 고위급회담 등을 개최하는 방안을 북한과 협의할 계획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 모두 정상회담 합의 사항을 평가하고 후속 논의를 준비하기 위한 시간이 다소 필요하겠지만, 최대한 신속하게 분야별 회담들을 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5월 안에 장성급 군사회담과 적십자회담, 고위급회담 등이 모두 개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적십자회담과 고위급회담이 다음 달에 개최되느냐’는 질문에 “네,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개최하는 쪽으로 검토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장성급 군사회담은 ‘판문점 선언’에 ‘5월 개최’가 박혀있다.
‘판문점 선언’에는 ‘남과 북은 쌍방 사이에 제기되는 군사적 문제를 지체 없이 협의 해결하기 위하여…(중략)…5월 중에 먼저 장성급 군사회담을 열기로 하였다’고 적시돼 있다.
장성급 군사회담이 열리는 것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7년 12월 이후 11년 만으로, ‘판문점 선언’에 담긴 다양한 군사적 긴장완화 방안들이 협의될 예정이다.
‘판문점 선언’에는 일체의 적대행위 전면 중지, 비무장지대(DMZ)의 실질적인 평화지대화,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 평화수역 설정, 남북 교류협력을 위한 군사적 보장, 단계적 군축 등의 군사 분야 합의 사항들이 담겼다.
8·15 광복절을 계기로 진행할 이산가족·친척 상봉행사를 논의하기 위한 적십자회담도 5월 중 열릴 것으로 보인다.
고위급회담도 5월 개최가 유력하다. 고위급회담이 열리면 앞으로 남북 교류의 ‘첨병’ 역할을 할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설 시기 등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