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는 15일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은 위기에 처한 청년 일자리·중소기업·구조조정 지역을 지원하는 응급 추경이면서, 동시에 에코 세대의 대량실업을 미연에 막기 위한 예방 추경”이라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제출에 관한 시정연설을 통해 “여야가 합의한 대로 추경이 의결되도록 도와달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리는 “청년취업의 기회를 늘리고, 구조조정 지역의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한 정책 가운데 즉시 시행해야 할 사업들을 뒷받침하기 위한 예산을 반영한 것”이라며 추경의 응급적 성격을 거듭 강조했다.
정부는 청년일자리 대책에 2조9천억 원, 구조조정지역 지원대책에 1조 원 등 총 3조9천억 원 규모의 추경안을 지난달 6일 국회에 제출했다.
총리가 추경과 관련해 대통령의 시정연설문을 국회에서 대독(代讀)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자기 연설을 하기는 역대 처음이다.
이 총리는 연설 서두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시정연설을 제가 대신하게 됐다”며 대독이 아닌 점을 밝혔다.
이어 “평창의 겨울이 한반도의 봄을 이끌었다”며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에 따른 ‘판문점 선언’의 주요 내용 및 5월 22일 한미정상회담과 6월 12일 북미정상회담 일정을 설명했다.
그는 “남북정상회담, 한미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고위회담을 통해 민족 공멸의 불씨를 없애고 평화와 공영의 터전을 다지도록 혼신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국내 여러 부문에서도 ‘변화의 흐름’이 도도하게 형성됐다며 불공정과 왜곡의 시정,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 최저임금인상, 아동수당 도입,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아이 돌봄·치매에 대한 국가책임 확대 등을 언급했다.
이 총리는 “소득 양극화와 출산율 저하는 오히려 더 나빠지고 있다”며 자영업자의 매출도, 노동자들의 삶도, 주부들의 살림살이도 개선되지 못했다고 미해결 과제들을 꼽았다.
그는 여러 가지 과제들 가운데 추경과 직접 연결된 청년일자리 문제, 조선·자동차업종의 구조조정에 따른 지역경제 위축 현황에 대해 연설의 주요 부분을 할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