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보건소 연장진료와 관련 시설과 인력지원 없이 진료시간만 연장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특히 5월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갈 포천시보건소의 경우 상근의사(5급), 간호사, 운전기사, 행정요원 등 4명이 필요하지만 정작 인력확충이 전혀 이뤄지지 않아 정부차원의 인력 및 재정지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23일 경기도와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는 4월 1일부터 국민의 공공의료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전국 16개 지자체 보건소를 대상으로 오후 10시까지 진료시간을 연장하는 ‘야간진료서비스 제도’를 도입했다.
도는 이에 따라 포천시보건소를 시범운영 대상으로 선정하고 원활한 연장진료를 위해 상근의사(5급), 간호사, 기사, 행정직원 등 4명의 필요인력과 전문의약품 및 의료장비의 확충을 정부에 건의했다.
하지만 정부는 의료장비나 약품은 고사하고 필요인력을 확충해주지 않아 보건소에서 일반환자외의 진료가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지역 환자들이 보건소보다는 인근 종합병원이나 의료원을 이용할 것으로 보여 보건소 진료시간 연장이 무의미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보건소가 전염병 예방 등 병역활동을 주로 전담하는 기관이라는 인식 때문.
지난 99년부터 2004년까지 남양주시 보건소가 외국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이 제도를 도입했지만 이용실적이 극히 저조해 폐지된바 있어 정부는 물론 도와 포천시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보건소 측은 응급환자 조치에 한계를 인정하면서 인력확충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야간진료보다는 본연의 지역보건업무에 치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정부는 보건소 야간진료 서비스 제도의 정착을 위해 적정인력이나 장비 및 약품 등의 확충이 절실히 요구된다”며 “여의치 않을 경우 지역이나 권역별로 거점 의료센터를 운영하거나 방문간호사업을 보강하는 대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