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경궁 김씨’ 트위터 계정 사건, 이재명 경기지사의 ‘친형 강제입원’ 등 의혹, 양진호 한국미래기술 회장의 ‘웹하드 카르텔’ 등 굵직한 사건을 처리해 온 수원지검이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원인 김태우 수사관 고발 사건까지 떠맡게 됐다.
수원지검에 민감한 사안들이 몰리며 ‘일복’이 터졌다는 웃지 못할 말마저 나오고 있다.
문무일 검찰총장은 지난 20일 청와대가 김 수사관을 공무상비밀누설 혐의로 고발한 사건을 서울중앙지검에서 수원지검으로 이송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수원지검은 이날 늦은 오후 관련 서류를 받아 담당 부서 배당 등 사건 전반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수사관은 정권 실세들의 비위 첩보를 올렸으나 청와대가 묵살했다는 의혹을 시작으로 민간 분야 사찰 의혹까지 폭로를 이어가며 현 정권의 심장부를 뒤흔들고 있다.
이로 인해 김 수사관의 의혹 제기를 두고 여당 측은 ‘개인 일탈’로 규정하고 사태 진화에 나섰고, 야당 측은 ‘국기 문란’ 행위로 보고 청와대 책임론을 거론하며 여야간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또 검찰이 한 점 의혹 없이 철저히 조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사건을 서울에서 수원으로 이송하기로 한데 대해 벌써 야권에서는 ‘사건축소’, ‘보복수사’라는 비판으로 일관하고 있다.
앞서 수원지검은 김 수사관 사건에 앞서 차기 대선주자로 꼽히는 이재명 경기지사와 아내 김혜경씨를 상대로 한 고발 사건이 잇따르며 이슈의 중심이 됐다.
‘혜경궁 김씨’ 사건과 관련, 해당 트위터 계정주가 김씨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고발장이 접수된 지난 6·13 지방선거를 선거사범 공소시효(선거일로부터 6개월·12월 13일) 직전까지 수사했다.
그러나 이 사건은 불기소 처분으로 일단락됐으나 수사 막바지에 이르러 이 지사 측이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씨 특혜채용 의혹을 거론하고 나서 여권 내에서 파문이 일기도 했다.
수원지검 성남지청은 이 지사를 둘러싼 ‘친형 강제입원’, ‘김부선씨 스캔들’, ‘조폭 연루설’ 등 각종 의혹을 맡아 처리했으며 6가지 희혹들 중 3건이 기소돼 다음 달 첫 재판이 예정돼 있다.
이 밖에도 지난 10월 폭행·엽기행각 동영상이 잇따라 공개되며 국민적 공분을 산 양진호 한국미래기술회장에 대한 수사도 진행하고 있으며 폭행 및 강요, 마약 등의 혐의로 양 회장을 재판에 넘긴 검찰은 이 사건의 핵심인 웹하드 카르텔과 관련해 수사를 종결하는 대로 추가 기소할 방침이다.
/박건기자 90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