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대중교통요금을 거리로 환산해 부과(본보 4월 27일, 5월 8일, 11일 1면)함에 따라 서울로 출?퇴근하는 도내 300여만명 주민들의 요금부담액이 대폭 가중될 전망이다.
12일 도에 따르면 서울시는 오는 7월부터 지하철과 시내버스의 이용거리를 합산해 요금을 내는 ‘통합요금 거리비례제’를 도입하고 서울시 지하철과 지선버스 및 일반버스는 10km 기준 800원, 수도권을 연결하는 광역버스는 1천400원으로 각각 확정했다.
하지만 거리비례제가 도입될 경우 도에서 서울시로 출?퇴근하는 주민들의 요금부담액이 최고 70%까지 인상될 것으로 보여 벌써부터 주민들의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
고양 대화역에서 전철을 타고 서울 수서역(59km)까지 출퇴근할 경우 현재 1천100원의 요금을 내지만 7월부터는 지금보다 63.6% 인상된 1천800억원을 부담해야 한다.
또 수도권에서 지하철을 이용해 서울로 출퇴근하는 승객들 역시 서울시청역 기준으로 현재 1천100원인 인천역까지 요금이 1천400원으로, 1천240원인 병점역까지 요금도 1천600원까지 인상된다.
지하철 5호선 마천역에서 김포공항역으로 갈 경우 현재 요금은 740원에 불과하지만 7월부터 무려 1천600원으로 2배 이상 비싸진다.
수원 정모(45)씨는 “매일 아침 동대문까지 지하철을 이용하고 마을버스를 타고 10분정도 더 가는 상황”이라며 “이 경우 거리비례제가 도입되면 현재 교통비에서 10만원 가량 더 지출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부담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서울로 출?퇴근하는 도민 중 많은 경우 월 교통비가 4만원 가까이 인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오는 14일 있을 서울시 요금체계 관련 공청회에서 현재 도의 입장을 강력히 전달해 주민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