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공공부문 비정규직 가운데 학교 영양사 등 4천600여명이 공무원으로 채용되고, 환경미화원과 도로보수원 등 2만7천여명이 상용직으로 바뀐다.
정부는 19일 오전 정부중앙청사에서 노동부와 행정자치부, 기획예산처 등과 합동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공공부문 전체 비정규직 23만4천여명 가운데 정부와 공기업, 공기업 산하기관의 비정규직 13만8천여명이 주요 대상이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각급 학교의 영양사 1천800여명과 도서관 사서 1천여명, 우체국 상시위탁집배원 1천700여명 등 모두 4천600여명이 공무원으로 채용된다.
또 현재 1년마다 계약을 갱신해야 했던 환경미화원 2만1천600여명과 도로보수원 3천200여명, 노동부 직업상담원 1천700여명 등 2만6천600여명도 정년 57세까지 계약을 자동 갱신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용직화 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근로복지공단의 직업상담원 740명은 3년에 걸쳐 상용직으로 고용되고, 그동안 열악하다는 지적을 받아온 처우를 개선해 주기로 했다.
일용직인 각급 학교의 조리보조원과 조리사, 정부부처의 사무보조원 등 6만5천여명에 대해선 비정규직으로 유지하되, 1년 단위의 연봉 계약제로 운영하고 보수를 인상하는 등 처우를 개선해 주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