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국회 원구성 협상을 앞둔 열린우리당이 당선자들의 상임위 배정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우리당은 지난 20일 당선자들로부터 희망 상임위 접수를 완료하고 선수조화와 적성을 기준으로 한 배치작업에 착수했으나 `노른자위'로 통하는 건교위 등 특정 상임위에 대한 편중 현상이 빚어지며 교통정리에 애를 먹고 있다는 후문이다.
이에따라 원내대표실은 상임위 배정에 관한 의견 수렴과 공정성 제고를 위해 24일 배정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3선 이상의 중진급 당선자 중 대부분이 여당 몫이 될 10~11개의 상임위원장 자리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이 상임위 배정의 혼선을 더할 변수로 지적되고 있다.
상임위원장 배정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초선 당선자가 자신의 뜻과 달리 다른 곳으로 밀려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19명인 3선 이상 중 상임위원장 후보로 거론되는 당선자는 국회의장에 내정된 김원기 고문과 부의장 출마가 유력한 5선의 김덕규, 입각 대상인 김근태 정동채, 원내대표인 천정배 의원 등을 제외하고 10여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부 재선의 상임위원장 기용이 불가피한데다 17명의 여성 당선자들이 `여성 몫 30% 할당'을 요구하고 나선 점도 막후 조율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여성 당선자들을 비롯한 당내 일부에서 상임위 배정 원칙에서 전문성을 재고하자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한 여성 당선자는 "학교재단 이사와 약사 등 이익단체를 대변할 수 있는 `경계인'은 특정 상임위 배정에서 제척돼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장복심 당선자는 "국회 전문성 제고를 위한 비례대표 증원취지에 역행하는 발상"이라고 반박하고 "그런 구태의연한 시각이 적용된다면 변호사는 법사위, 언론인 출신은 문광위에서 배제돼야 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