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해마다 증가하는 질환들이 있다. 치매(알츠하이머), 뇌졸중(중풍)과 함께 3대 노인 질환으로 꼽히는 ‘파킨슨병’도 이 중 하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보면 2014년 9만6천673명이던 파킨슨병 환자는 2017년 11만5천679명으로 3년 새 20%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80대 이상이 47%, 70대 38%, 60대 12%, 50대 3% 등으로 50세 이상이 99%를 차지한다.
파킨슨병은 뇌에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특정 신경 세포들이 점차 죽어가면서 나타나는 만성 퇴행성 뇌질환이다. 대표 증상으로는 떨림(진전), 경직(과다굳음), 운동느림(서동증), 자세 불안정 등이 꼽힌다. 세계적으로 600만 명 이상이 파킨슨병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다.
이 질환은 원래 제임스 파킨슨(James Parkinson)이라는 영국인 의사가 1817년에 발표한 논문(An essay on the shaking palsy)을 통해 그 증상이 알려졌다. 이후 ‘신경과학의 아버지’라고 알려진 장 마르탱 샤코(Jean Martin Charcot, 1825∼1893)에 의해 파킨슨병이라는 진단명이 처음 사용됐다.
하지만 제임스 파킨슨 이전에도 파킨슨병으로 추정되는 문헌상 보고는 많다. 그만큼 질환의 역사가 깊은 셈이다.
계명의대 신경과학교실 김근태·유수연 교수팀이 대한신경과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고대 중국의 의학 서적인 황제내경에는 ‘떨림과 경직, 머리를 웅크리고 눈은 한 곳을 응시하며, 몸통은 앞으로 숙이고, 걸을 때 떨림이 있다’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현대에 파킨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모습과 흡사하다.
또 15세기 고대 인도 힌두교의 건강체계를 다룬 문헌에 등장하는 ‘캄파바타’(kampavata)라는 질병도 파킨슨병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kampa’는 떨림을, ‘vata’는 움직임과 감각을 뜻한다. 당시 떨림 등 증상이 있는 환자가 현대 파킨슨병 치료제인 ‘레보도파’ 성분이 들어있는 열매 추출물로 증상이 호전됐다는 점이 그 근거로 제시된다.
또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의 저술에서 쓴 ‘마비 환자’, ‘영혼이 없는 듯 머리와 손과 사지를 떨면서 움직이는 자들’, ‘떨리는 팔다리를 어찌할 수가 없는 영혼들’ 등의 표현도 파킨슨병에 대한 묘사로 풀이된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파킨슨병에 대해 언급된 여러 학술 문헌과 신문기사, 자서전 등의 정보를 종합할 때 19세기 이후 유명인 중 파킨슨병을 앓은 대표적인 인물로 아돌프 히틀러, 나혜석,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무하마드 알리 등 4인을 꼽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근대 이전에는 파킨슨병에 대해 운동완만과 떨림 정도의 증상을 기술하는 데 그쳤지만, 이는 현대 의학 발전 이전 시기에 평균 수명이 짧았던 것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연구팀은 과거 유명인들의 사례를 볼 때 파킨슨병을 정확히 진단하려면 환자의 증상과 생활환경, 외상 유무, 생활 습관, 직업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생각하는 넓은 시야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우리가 계속 변화하는 현대 의학의 지식과 기술들을 이용하고 있지만, 의사-환자 간 대화와 문진, 환자에 대한 자세한 진찰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임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면서 “유명인들의 파킨슨병 사례를 통해 그 증상이 널리 알려지고, 사회적으로 파킨슨병에 대한 관심이 더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