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청와대와 여당간 원활한 정책협의를 위해 청와대 비서실장, 정책실장, 당 의장, 원내대표, 정치특보 등이 참석하는 고위 정무회의를 주 1회 정례화하기로 했다.
또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고위 당정회의를 월 1회 열기로 했으며, 청와대 정책실장과 당 정책위원장은 수시로 접촉해 정책현안에 대한 의견을 조율하기로 하는 등 3가지 채널을 가동키로 했다.
당.청간 가교 역할을 맡고 있는 문희상 의원은 31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청간 공식 채널을 구축하는 논의가 거의 다 됐다"며 3개 채널에 대해 설명한 뒤 "정무관계를 논의하는 회의에는 당에서 원할 경우 대통령도 참석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고위 당정회의에는 각부 장관, 당 의장, 원내대표, 정조위원장, 청와대 비서실장 및 정책실장 등이 참석하게 된다고 문 의원은 밝혔다.
여권은 최근 당 의장과 원내대표, 청와대 김우식 비서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갖고 당.청간 채널 구성에 대한 방안에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의원은 "정무 관련회의는 과거 제왕적 총재 시절의 주례보고처럼 대통령이 당 총재로서 보고받는 방식이 아니라, 당에서 대화의 창구를 원하고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참석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정무수석 부활 및 정무장관 설치 주장에 대해 문 의원은 "정무수석을 부활해야 한다거나 정무장관을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면서 "그러나 과거 제왕적 대통령제하에서는 야당을 협박, 회유,공작하는 부서가 제도적으로 필요했을지 모르지만 이제 그런 시대는 끝났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