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내년부터 음식물쓰레기의 직매립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공공처리시설을 대폭 늘려 처리능력 확충에 본격 나선다.
2일 도에 따르면 현재 31개 시?군에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총 98개소가 있으며 하루 처리량이 3천561t에 이른다.
그러나 총 98개소 중 공공처리시설 16개소에서 하루 915t을 처리하는 반면 민간처리시설 82개소에서는 고작 870t(처리량 2천631t)을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재정과 설비에서 열악한 민간처리시설의 당초 처리량을 확보하기 위해 내년까지 총 277억원을 투입해 6곳에 음식물쓰레기 공공처리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우선 도는 올해 142억원을 들여 수원 100t, 오산 30t 하남 35t, 광명 100t 등 총 265t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 시설을 증설하고 있다.
또 내년에는 파주 80t, 김포 70t 등 2곳에 135억원을 투입해 총 150t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의 시설을 신설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음식물쓰레기의 직매립 금지에 따라 민간시설이 처리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공공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해까지 도내 음식물쓰레기 발생현황을 보면 하루 평균 2천315t(1인당 0.3㎏)이 발생했으며 이 중 소각 300t, 매립 200t, 퇴비나 사료 자원화 1천815t으로 72%가 자원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