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대륙별 예선전 고려
내년 1월 휴식기·올스타전 생략
남자부 7개팀 팀당 36경기
대한항공-현태캐피탈 2강 구도
여자 6팀, 19일 개막 팀당 30경기
1강 흥국생명 누가 저지? 주목
2019~2020 도드람 프로배구 V리그가 12일 오후 2시 충남 천안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리는 남자부 디펜딩 챔피언 천안 현대캐피탈과 올해 한국프로배구연맹(KOVO)컵 대회 우승팀 인천 대한항공의 개막 경기를 시작으로 6개월간의 대장정에 들어간다.
여자부는 19일 오후 4시 인천 계양체육관에서 지난 시즌 통합 챔피언 인천 흥국생명과 준우승팀 김천 한국도로공사의 개막 경기로 새 시즌을 연다.
올 시즌 V리그는 2020년 도쿄올림픽 대륙별 예선 일정을 고려해 내년 1월 휴식기를 가지며, 올스타전은 개최하지 않는다.
7개 팀이 참가하는 남자부는 정규리그 6라운드 동안 팀당 36경기, 총 126경기를 치른다.
6개 팀이 경쟁하는 여자부는 6라운드에 걸쳐 팀당 30경기, 총 90경기로 순위를 가린다.
정규시즌은 내년 3월 18일까지 진행된다.
남자부는 월요일을 빼고 1주에 엿새 동안 팬들을 찾아가고, 여자부는 월요일과 금요일을 휴식일로 뒀다.
내년 3월 21일부터 26일까지는 정규리그 2, 3위 간 플레이오프가 3전 2승제로 열린다.
리그 우승팀을 가리는 대망의 챔피언결정전(5전 3승제)은 내년 3월 27일부터 4월 5일까지 개최된다.
다만 남자부는 정규리그 3, 4위 간 승점 차가 3점 이내면 내년 3월 20일 단판으로 준플레이오프부터 치른다.
남자부는 대한항공과 현대캐피탈의 ‘2강 구도’ 예상 속에 나머지 다섯 팀이 ‘봄 배구’ 티켓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2018~2019시즌 정규리그 1위를 차지하고도 챔프전에서 현대캐피탈에 우승컵을 내줬던 대한항공은 막강 전력을 구축해 이번 시즌 통합우승에 도전한다.
지난 시즌 종료 후 자유계약선수(FA)로 풀린 최대어 정지석과 레프트 곽승석, 센터 진성태 등을 잔류시킨 데 이어 FA 레프트 손현종을 영입해 전력을 보강했다.
여기에 백업 세터였던 황승빈이 군(軍)에 입대한 공백을 메우려고 우리카드에서 뛰었던 베테랑 세터 유광우까지 데려와 최고의 세터 한선수와 ‘더블 세터’ 체제를 만들었다.
새 외국인 선수 안드레스 비예나는 키 194㎝로 용병치고는 크지 않지만 특유의 파워와 스피드를 앞세워 올해 컵대회 우승을 이끌며 활약을 예고했다.
센터진도 진성태와 김규민, 진상헌이 속공과 블로킹 능력에서 어떤 구단에 뒤지지 않아 대한항공의 통합우승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새 용병 거포 레오 안드리치의 활약에 고무된 안산 OK저축은행과 캐나다 출신의 거물 공격수 가빈 슈미트를 잡은 수원 한국전력, 김정호 등 토종 멤버들이 성장한 의정부 KB손해보험도 포스트시즌 진출 티켓에 도전한다.
여자부는 지난 시즌 통합 챔피언 흥국생명의 독주를 어느 팀이 저지할지가 최대 관심사다.
흥국생명은 우승 멤버가 건재하고, 외국인 드래프트 때 낙점했던 지울라 파스구치를 내보내고 영입한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출신의 루시아 프레스코가 매서운 공격력을 갖췄다.
국가대표로 뛴 레프트 이재영과 리베로 김해란이 든든히 버티는 가운데 김세영-이주아가 신구 조화를 이룬 센터진에 김미연, 이한비, 신연경 등도 컵대회에서 한뼘 성장한 경기력을 보여줬다.
흥국생명은 이재영과 김해란, 프레스코가 빠지는 바람에 컵대회 결승에 오르지 못했지만 이들 3인방이 가세하는 정규리그에선 ‘1강’의 존재감을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또 컵대회에서 5전 전승으로 우승한 수원 현대건설은 우승 다크호스다.
현대건설은 FA 시장에서 영입한 레프트 고예림이 화끈한 공격력을 뽐냈고, 지난 시즌에 이어 뛰는 외국인 선수 마야도 찰떡 호흡을 보여줘 포스트시즌 진출을 벼르고 있다.
지난 시즌 득점왕 어도라 어나이와 재계약한 화성 IBK기업은행도 플레이오프 티켓을 다툰다.
새 시즌에는 비디오판독(VAR) 기회가 확대되고, 관중에게도 판독 장면이 공개된다.
한국배구연맹(KOVO)은 V리그의 시험 무대였던 컵대회에서 기존 세트당 1차례 VAR 요청에 추가로 심판의 오심 또는 판독 불가 때는 정심이 나올 때까지 무제한으로 요구할 수 있도록 했다.
컵대회에서 이어 정규리그에서도 VAR 판독 요청 기회 확대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 컵대회 때 반응이 좋았던 비디오 판독 장면의 전광판 노출도 정규리그에서 계속 시행할 방침이다.
/정민수기자 j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