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는 장애인의 일상적인 삶에 도움을 줄 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올해 ‘연구지원센터 중점 사업’을 10일 발표했다.
센터가 이날 밝힌 중점 사업은 ▲보완대체의사소통 기기(스마트 AAC) 활용 전문 교육 ▲3D 프린터를 활용한 보조기기 개발 플랫폼 구축 ▲친환경 DIY 보조기기 개발 및 보급 확대 등이다.
보완대체의사소통은 의사 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 및 뇌병변 장애인들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말 대신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방법이다.
3D 프린터를 활용한 보조기기 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을 통해 썰기 보조기기, 브레이크 연장, 키가드, 숫자판 조이스틱, 손가락 스트레칭보드 등 다양한 맞춤형 보조기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친환경 골판지를 활용한 DIY 보조기기를 개발, 보급해 보조기기 가격을 낮추고 활용성을 높인다. 작년 개발을 마친 친환경 DIY 보조기기 2종(자세유지의자, 치료훈련용 보조기기)은 도내 장애아동과 복지기관에 보급을 확대한다.
도 관계자는 “올해는 센터가 그 동안 추진해 온 사업을 발전시켜 나갈 중요한 해로 센터가 중점 사업을 잘 추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박한솔기자 hs6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