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발생 이후 경기도 내 오프라인 신용카드 매출액이 지난해보다 1조8천821억 원 감소했다.
특히 2월 19일 이후 코로나 확진수 급증에 따라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은 21일 지난 1월 20일부터 3월 22일까지 9주간의 신한카드 자료를 토대로 코로나19 발병 이후 경기도 흐름과 향후 대응방향을 담은 ‘코로나19 경제위기, 끝은 보이고 있는가?’를 발간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후 시간경과에 따라 매출액 감소업종은 학대되고 있다.
가전·가구, 미용, 요식·유흥 등에서 시작된 피해는 발뱅 4~5주차부터 교육·학원, 의료, 가정생활·서비스 등의 품목으로 감소세가 확산됐다.
피해가 가장 큰 품목은 요식 및 유흥업으로 매출액이 6천024억 원 감소했고, 이는 전체 순감소액의 32.0%를 차지한다.
의류·잡화(-27.7%), 미용(-23.7%), 가전·가구(-16.2%) 등 소득탄력성이 높거나 소비의 시급성이 낮은 품목에서 매출액 감소율이 크게 발생했으며, 다중이용시설 기피현상으로 백화점과 대형 기타(아울렛 등), 대형마트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각각 30.5%, 28.5%, 18.7% 감소했다.
숙박업과 여행업 부문의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7.2%, 19.6% 감소했고, 교육·학원(-18.4%), 스포츠·문화·레저(-17.2%) 등 대면접촉 빈도가 높은 업종의 매출액 감소율은 20% 수준이다.
반면 음·식료품업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증가했는데, 이는 외식 감소에 의한 반사효과로 대체 수요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를 수행한 김태영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의 경제적 여파는 수요-공급 부문에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하고, 코로나19 확산이 종식되어도 경제적 어려움은 지속될 전망”이라며 경기침체에 대한 단기적, 중장기적 대응방안을 제안했다.
우선, 단기적으로는 수요·공급부문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은 수요·공급 부문에서 동시에 발생했으며, 점점 심화돼 중앙·지방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추가적인 경제적 여파에 대한 대비다.
▲감염병으로 인한 산업생태계 변화 영향 검토 ▲코로나19로 확대될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제도적·사회적 안전망 구축 ▲생산설비 분산 등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에 대한 대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경기연구원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분석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한 ‘Post-코로나19’ 관련 주제를 지속적으로 내놓을 예정이다./박한솔기자 hs6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