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북부지역에서 잇따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감염된 야생멧돼지가 발견되면서 도가 ‘ASF 대응 포획단’을 선발하고, 북부지역 도살장에 열상 카메라를 설치하는 등 대응 마련에 나섰다.
28일 도에 따르면 올해 야생멧돼지 ASF 발병 건수는 4월 26일 기준 전국 570건으로 작년 55건의 10배를 넘었다. 이 중 도내 발생건이 전체의 55%인 317건으로 밝혀졌다.
이에 도는 최대 400명까지 포획단을 모집할 계획이며, 포획 지역은 양주, 동두천, 포천, 가평, 남양주 등 도내 5개 시·군이다. 5월 8일부터 6월 30일까지 활동하게 되며, 야생멧돼지 집중 총기포획과 멧돼지 폐사체 처리, 매몰지 방역 소독 등을 담당하게 된다.
도는 또 ASF 확산 방지를 위해 경기북부 도축장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해 운영하기로 했다.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한 곳은 포천, 연천, 남양주 등 도축장 3곳이다.
박종일 도 환경정책과장은 “작년 ASF 최초 발병 이후 현재까지 ‘심각’ 단계면서 금년 들어 야생멧돼지 ASF 발병이 급증함에 따라 봄철 확산 방지를 위해 도 차원의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했다”며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조기 종식될 수 있도록 많은 수렵인들의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의정부=박광수기자 ks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