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학대를 하는 가장 큰 상대는 배우자이며, 아들이 다음으로 노인학대를 한다는 조사보고서가 나왔다. 또 유형으로는 비난과 모욕, 위협 등 정서적 학대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경기도가 오는 15일 ‘노인학대 예방의 날’을 앞두고 지난해 도내 4개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접수된 969건의 학대 행위자 유형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서 배우자가 341건으로 가장 많았고, 아들 323건, 기관 119건, 딸 85건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도 학대 행위자 유형은 아들이 365건으로 가장 많았고 배우자 311건, 딸 93건, 기관 83건 순이었다. 행위자 순위의 일부 변동은 있었지만 가정 내 노인 학대가 가장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도는 지난해 도내 4개 노인보호전문기관에 걸려 온 2천445건의 신고 접수와 1만8천412건의 상담 내용을 분석했다.
2천78건의 학대 유형별 현황으로는 비난, 모욕, 위협 등의 정서적 학대가 933건으로 노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손상과 고통, 장애 등을 유발시키는 신체적 학대 859건보다 더 많은것으로 조사됐다.
노인보호전문기관은 급속한 노령화와 가족 간 갈등으로 늘고 있는 노인 학대를 예방하고 노인학대 사례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해 그에 맞는 노인인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관이다.
도는 2004년 성남시에 경기동부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설립한 이후 2006년 의정부시, 2010년 부천시, 2019년 수원시 등 전국 최대인 4개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설립했다.
지난해에는 상담 1만8천412건, 복지서비스 연계 2만3천685건, 노인 학대 예방·재발 교육 433회, 언론 홍보 1만1천824회 등 노인 학대 예방과 권익보호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