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는 24일 'AP 테이프' 보도와 관련,당시 AP기자로부터 문의를 받은 외교부 당국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외교부는 아중동국 등 관련부서를 중심으로 공보관실 등 전 부서에 대해 AP기자의 전화를 받은 사실이 있는지에 대해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AP측이 "문의시점은 지난 3일"이라고 이날 오후 공식 답변을 외교부에 보내옴에 따라 당시 당직자 등에 대해서도 조사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정보원 등 관련기관도 관련자 색출을 위해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신봉길 외교부 대변인은 "보안문제 관련 쪽에서도 하고 있다"고 말해 이같은 사실을 뒷받침했다.
AP통신이 보내온 답변서의 요지는 AP 서울지국의 기자가 지난 3일 비디오 테이프에 대한 언급 없이 김선일이라는 이름의 한국인이 이라크에서 실종됐는지를 외교통상부에 전화로 문의를 했으나 "김씨 등 어떤 한국인도 실종되거나 체포됐다는 것에 대해서는 아는 바 없다"는 답변을 외교부로부터 받았다는 것.
외교부는 그러나 AP측이 이번 보도의 진실을 밝힐 열쇠인 '어느 부서의 누가' 그러한 답변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취재원 보호'를 이유로 밝히지 않고 있어 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신 대변인은 "한국정부 공신력 및 개인생명과 관련있는 것이기 때문에 취재원 보호와는 달라 누구에게 질문했는지 밝혀야한다"며 "이라크 위험지역의 한국인이 관련된 것인 만큼 당연히 현지대사관이나 우리 정부에 전달해 확인절차를 거쳐야 했다"고 반박했다.
정치권에서도 청문회와 진상조사단 등을 통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문책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지도부는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외교부는 김씨 피랍 20일이 되도록 주이라크 한국대사관 등에서 파악조차 하지 못한 '정보 부재'에 대해서도 자체 진상조사를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