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일단 유보한 외교.안보라인에 대한 문책성 개각의 폭은 감사원의 조사결과가 어느 정도 진행되는 내달 초쯤에나 그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노 대통령은 故 김선일씨 피랍.살해 사건을 놓고 인책론이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는 외교.안보라인 교체에 대해 "정확한 진상규명이 우선"이라며 일단 유보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르면 국회 총리임명동의안이 처리되는 29일 통일, 보건복지, 문화관광 등 당초 개각단행 예정이었던 3개 부처에 대해선 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이번 개각에선 정동영, 김근태 두 차기 대권주자와 열린우리당 정동채 의원의 입각이란 당초 방침엔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이번주 3개 부처 개각에 이은 추가개각은 감사원의 조사결과가 발표되는 내달 중순쯤에나 가능할 것으로 점쳐진다.
이는 그동안 노 대통령이 누누히 강조해 온 국면전환을 위한 개각이 없다는 원칙에 따른 것으로 관측된다.
진상규명을 통해 책임소재를 명확히 한 뒤 추가개각을 단행하더라도 하겠다는 뜻이어서 노 대통령이 이번 김선일씨 사건으로 인한 문책성 개각의 폭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권 내부에선 지금까지 외교부 자체조사 결과만 보더라도 반기문 외교통상장관의 교체는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다만 인책론 대상인 고영구 국정원장이나 조영길 국방장관, 특히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이종석 사무차장의 책임을 어디까지 묻느냐가 관건이다.
외교안보라인에 대한 대대적인 손질이 필요하다는 정치권 안팎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문책 개각에 대한 노 대통령의 고심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