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이덕일의 역사를말하다]재일사학자 이진희가 만난 스에마쓰 야스카즈

[임나일본부설⑦]

 

# 이진희의 청강을 거부하는 스에마쓰 야스카즈

 

쓰다 소키치와 이케우치 히로시는 이병도가 와세다대를 졸업한 후에도 자신들의 저서와 논문을 보내주었다. 이병도는 남한 강단사학계의 이른바 태두가 된 후에도 이 일본인 학자들에게 “사랑을 받았다”고 자랑하면서 “매우 존경할만한 인격자였다”고 높였다(본 연재 7월 20일자 참조) 또한 경성제대 교수이자 조선사편수회 간사였던 스에마쓰 야스카즈(末松保和)는 해방 후에도 한국을 들락거리면서 서울대 교수들을 지도했으며(27일자 참조) 한국인 제자들에게 이렇게 친절했던 식민사학자지만 재일 사학자 이진희(李進熙:1929~2012) 교수가 자서전 ‘해협’에서 말하는 이들의 모습은 아주 다르다.

 

이진희는 1950년 메이지(明治)대학 문학부 사학과에 입학했는데, 6·25전쟁이 막바지에 다다른 1953년 도쿄예술대학 교수인 후지타 료사쿠(藤田亮策)가 케이오대학(慶應大學)에서 ‘조선고고학’을 강의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또 학습원대학(學習院大學)의 스에마쓰 야스카즈가 도쿄대학에서 ‘여말선초(麗末鮮初:고려말 조선초)’라는 제목으로 강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진희는 후지타 료사쿠의 ‘조선고고학’을 듣기 위해서 후지타의 친구인 고토 슈이치의 소개장을 받아서 후지타를 찾아갔다. 또한 스에마쓰의 강의를 듣기 위해 그의 선배인 아오야마 코리요의 소개장을 들고 찾아갔다. 이진희는 자신이 만난 두 일본인 교수에 대해 이렇게 회고하고 있다.

 

“그 무렵 ‘조선고고학’과 ‘조선사’에 관심을 지닌 학생은 극소수였기 때문에 아마 내가 일본인이었다면 두 교수는 청강을 기쁘게 받아들였을 것이다. 하지만 두 교수 모두에게 거절당했는데 그 이유는 이상하게도 똑같았다. “나는 이 대학의 시간강사이고 조선인인 자네를 가르쳐야 할 의무는 없다”라는 내용이었다. 나는 ‘역시 그들의 본질은 다를 게 없구나’ 하는 생각을 하며 납득 아닌 납득을 해야 했다. 그들은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재직하다가 일본의 패전으로 귀국한 사람들이었다.(이진희, ‘해협’, 삼인, 2003)”

 

 

두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이 이진희의 청강을 거부한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그들의 눈에 이진희는 이병도·신석호 등과 달리 식민사관, 즉 황국사관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없는 ‘조선인’ 학생이었기 때문이다. 조선총독부 박물관 관장이었던 후지타 료사쿠나 국내를 들락거리면서 서울대 사학과 교수들을 지도하던 스에마쓰의 눈에는 “싹이 노란” 민족주의자로 보였을 것이다. 이진희는 후지타 료사쿠와 스에마쓰 야스카즈에 대해서 이렇게 평가했다.

 

“후지타는 조선총독부의 고적·문화재 정책을 총괄하고 고고학과 고대사를 연구하고 있었다. 스에마쓰는 패전 후 일본으로 돌아와 ‘임나흥망사(任那興亡史)’ 집필을 통해 고대 야마토(大和) 정권이 한반도 남부를 2세기에 걸쳐 지배했다고 주장하였다. 이른바 ‘임나일본부설’이 정설로 되게 한 저서였다. 우연이긴 하지만 두 사람의 경성제국대학 교수가 어떤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식민지 대학에 근무했고, 패전 후에는 어떤 자세로 바뀌었는지 알 수 있게 한 일화였다(이진희, ‘해협’, 삼인, 2003)”

 

 

 

이는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의 이중인격을 말해주는 사례다.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은 식민사학자가 되려는 이병도·신석호 같은 학생들은 사랑하고 조선사편수회에 취직할 수 있게 도와주고, 해방 후에도 국내를 들락거리면서 사학과 교수들을 가르쳤지만 지인의 소개장을 들고 찾아왔어도 식민사학자가 되기를 거부하는 학생은 청강은 막았다.

 

# 즐문토기의 후지타 료사쿠

 

 

이진희의 청강을 막은 후지타 료사쿠(1892~1960)는 1915년 도쿄제국대학 의학과에 입학했으나 눈이 심한 근시라서 의사의 길을 포기하고 문과대학 사학과로 전과했다. 그는 도쿄대 사학과에서 구로이타 가쓰미(黒板勝美:1874~1946)에게 배웠는데 구로이타 가쓰미는 1922년 후지타 료사쿠를 조선총독부에 소개해 총독부 고적조사위원이 되게 했고, 나중에는 총독부 박물관 관장이 되었다. 후지타의 스승 구로이타는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임나고지(任那故地) 기행(1915년 7월 24일)〉이란 기행문을 썼다. 가야가 옛 임나일본부의 땅이라는 어거지인데, 요즘말로 옮기면 이런 내용이다.

 

“남한은 내궁가(內宮家)를 설치한 곳이요, (야마토) 조정의 직할지가 되어서 일본의 영토가 된 일이 있다. 임나일본부(日本府)의 재(宰:수장)는 태재부(太宰府:큐슈)의 재(宰)니 우리 세력이 발전한 때는 임나일본부가 되고, 퇴수(退守)할 때는 태재부는 구주(九州)의 일본부가 되는데, 일본부는 조선의 태재부이더라…(그러나 임나의 세력이 쇠퇴한 것을) 유감으로 여겨서 지나(支那:중국)의 손으로부터 (조선)을 구하고자 했으니 일찍이는 북조시종(北條時宗:가마쿠라 막부) 풍신수길(豐臣秀吉)과 명치시대에 대서향(大西鄕) 등이더라. 한국병합은 임나일본부의 부활이니 우리들도 상고(上古)에 있는 것과 같이 같은 나라, 같은 문화라는 생각이 있으면 진실로 병합이 될 것이라는 것이 요점이 되었다(구로이타 가쓰미, 〈임나고지기행〉)”

 

풍신수길은 임진왜란을 일으킨 토요토미 히데요시이고, 대서향은 한국을 정벌해야 한다는 ‘정한론’을 주창한 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를 뜻한다. 남한 강단사학자들이 존경하는 구로이타 가쓰미는 토요토미 히데요시와 사이고 다카모리를 높이면서 “한국병합은 임나일본부의 부활”이라고 주장했다.

 

후지타 료사쿠는 우리 국민들에게 ‘즐문토기’란 이름으로 뇌리에 박혀 있다. 후지타는 1923년 지금의 교육부격인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박물관 주임이 되고, 조선총독부 편수관(編修官)이 되어 한국사 왜곡에 앞장섰다. 1932년부터는 경성제국대학 교수가 되었고, 총독부 박물관 관장도 겸임했다. 그는 ‘조선 보물고적 명승천연기념물 보존위원회’ 위원이 되었는데, 이 위원회는 1936년 사천(泗川) 왜성(倭城)이 임진왜란 때 왜군이 조명연합군을 격퇴한 곳이라면서 그 천수각 자리에 전승비를 세웠다. 이것이 ‘사천신새(泗川新塞) 전첩비(戰捷碑)’였다.

 

임진왜란 때 사천성을 점거했던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의 후손들은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로부터 사천 성터를 기부받아 벚나무 1천여 그루를 심었다. 이 승전비는 해방 후 사천시민들이 철거했지만 2006~2007년 사천시는 막대한 국비와 시비를 들여 성벽과 성문 등을 복원하고, ‘벚꽃축제’를 연다. 식민사학자들이 역사학계를 장악한 결과 임진왜란 때 왜군이 사천성을 장악하고, 왜장의 후손이 심은 벚나무를 찬양하는 벚꽃축제가 버젓이 열리는 것이다.

 

후지타는 1930년 ‘청구학총’ 제2집에 ‘즐목문토기의 분포에 대하여’라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핀란드 고고학자 아일리오(J. Ailio)가 1922년 북유럽 석기시대 토기에 붙인 이름을 그대로 따서 독일어 ‘Kamm Keramik’을 ‘즐목문토기’라고 번역했다. 이를 한글로 옮긴 것이 이른바 빗살무늬토기다. 후지타는 이 토기가 북유럽에서 시베리아를 거쳐 한반도로 전파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한국인들은 문화창조 능력이 없어서 외국에서 모든 문물을 가져와야 한다는 한국사 정체성론에서 만든 것이다. 한국토기가 시베리아 토기보다 더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다는 사실도 외면하고 아직도 ‘빗살무늬토기’라고 쓴다.

 

북한학계는 새김무늬토기라고 쓴다. 후지타는 또 도리이 류조의 고인돌(지석묘) 분류방식을 따라서 고인돌을 남방식 지석묘와 북방식 지석묘로 분류하면서 동남아시아에서 해로를 통해 전파되었다고 주장했다. 고인돌 역시 우리 선조들의 고유한 묘제가 아니라 외국에서 들어왔다는 논리다.

 

# 일본 내 조선학회

 

후지타 료사쿠는 일제 패전으로 쫓겨간 후 교직원 적격심사를 받아야 했을만큼 군국주의 성향이 강했던 인물이다. 그는 1947년 교직원 적격심사에 통과해서 도쿄예술대학 교수가 되고 일본고고학협회 위원장이 되었다. 그는 한국에서 6·25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10월 일본 천리대학(天理大學)의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1878~1967) 등과 ‘조선학회’를 만들어 간사가 되었다. 다카하시 토오루는 조선총독부 시학관(侍學官)과 경성제국대 창립위원회 간사를 역임했던 인물이다. 재일사학자 이진희의 ‘해협’에는 이들이 만든 조선학회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조선)학회는 한국전쟁이 치열하던 1950년 10월 텐리대학에서 창립되어 12월에는 학회의 도쿄지부를 만들었다. 그리고 다음해 1951년 5월에는 ‘조선학보’ 제1집이 간행되었고, 1953년 3월에는 제4집, 8월에는 제5집을 발행했다. 하지만 잡지는 학회 회원에게만 배포되는 비매품이었다. 그래서 나는 아오야마 교수의 추천장을 첨부해 도쿄지부 간사인 스에마쓰 야스카즈에게 입회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학생은 학회 회원이 될 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거절당하고 말았다.”

 

텐리대학은 일본극우파들이 세운 학교로서 일제강점기 때 도쿄대, 교토대 못지않게 한국관련 유물과 자료들을 대거 가져갔다. 나는 일본 답사 때 최근까지 이 학회의 부회장을 맡았던 후지모토 유키오(藤本幸夫)라는 도야마대(富山大) 교수에 관한 일화를 들은 적이 있다. 후지모토의 집에 갔더니 이완용의 친필 휘호가 걸려 있더라는 것이다. 누구 글씨냐고 물어보니 “한국의 대학자의 글씨”라고 대답하더라는 것이다. 이런 한일카르텔은 지금도 우리 사회 곳곳을 장악하고 우리 국민들의 정신세계를 갉아먹고 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