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군공항 이전을 위한 대통령실 태스크포스(TF) 구성 방침이 발표되면서 10년째 답보 상태였던 수원 군공항 이전 사업도 새 국면을 맞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수원시는 정부에 TF 참여를 공식 건의할 예정이며, 수원·화성 피해 지역 주민 여론 역시 정부 주도 해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게 나타났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25일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에 대해 "정부에서 주관하도록 하겠다"며 대통령실 주도의 TF 구성을 밝힌 이후,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에 따라 유사한 상황에 놓인 수원 군공항 이전 사업도 정부 차원의 해결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수원시는 지난 2014년부터 시작된 군공항 이전 논의가 10년 넘게 지역 간 갈등으로 답보 상태에 빠져 있다며, 광주와 마찬가지로 정부 주도 TF를 통한 해법 마련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수원 군공항은 2017년 국방부가 화성시 화옹지구를 예비이전후보지로 지정했지만, 화성시와 지역 시민단체 등의 강력한 반대로 추진에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수원시는 지난 4월 24일부터 5월 7일까지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피해 지역 주민 대상 설문을 진행했다. 조사 대상은 수원시 16개 동 주민 748명과 화성시 8개 동 주민 260명 등 총 1008명이었으며, 응답자의 69%가 군공항 외곽 이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응답자의 69%는 군공항의 설치 목적에 대해선 이해한다고 답했지만, 소음과 안전 문제 등으로 인해 외곽 이전이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이전 사업이 지체되는 원인으로는 '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 부족'이 38%로 가장 많았으며, '국가의 정책적 제시 미흡'(24%), '지역사회 공감대 부족'(15%), '주민 의견 수렴 부족'(12%) 등이 뒤를 이었다.
수원시는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실이 주관하는 광주 군공항 TF에 수원시와 대구시도 포함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내부 검토를 진행 중이다.
시 관계자는 "광주 군공항 TF 구성은 정부가 군공항 이전 문제를 직접 해결하겠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광주와 수원, 대구는 각각의 상황 차이는 있지만 군공항 이전이라는 공동 과제를 안고 있는 만큼 정부가 통합적으로 접근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