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전환의시대, 사회적경제]부동산 가격 안정과 빈집

  • 서재교
  • 등록 2020.08.18 06:37:10
  • 인천 1면

 

올 한해 가장 큰 이슈, 블랙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코로나19에 따른 실물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치솟는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대책을 두고 하는 이야기다. 최근 행정수도 이전, 청와대 고위 관료들의 주택 매각과 관련한 촌극까지 보태져 사회 전반의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는 이른바 이슈 ‘블랙홀’로 떠오르고 있다.

 

급기야 지난 7일에는 서울 시내 대규모 국·공유지와 서울 도심 내 재건축·재개발 시 용적률 상향 등을 통해 13만 채가 넘는 신규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방안까지 발표됐다.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하겠다는 정부의 강한 의지가 읽히는 대목이었다.

 

그런데 정말 주택이 부족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것일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빈집은 지난 2015년 106만8919채에서 2018년 141만9617채로 32.8% 증가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경기도가 유독 눈에 띈다. 2018년 기준 경기도의 빈집은 24만9635호였다. 2015년과 견주면 72%가 늘어나 제주특별자치도(76%)를 제외하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빈집 수에서는 타 시도를 압도한다. 전국 빈집 10채 가운데 2채(17.6%)가 경기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13만6805채, 9.64%)과 경남(13만1870채, 9.29%)이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경기도 내 빈집 증감률 상위 시·군을 조사했더니 구리(464.03%), 김포(242.42%), 양주(204.49), 시흥(179.06%)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빈집 비중이 높은 경기도 내 시·군으로는 평택(3만728채, 12.31%), 화성(2만1685채, 8.69%), 수원(1만7983채, 7.20%) 순으로 조사됐다.

 

빈집 유형으로는 아파트가 58.04%(14만4897채)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다세대주택(7만2068호)이 28.87%로 뒤를 이었다. 특히 김포(79.57%), 화성(76.23%), 양주(75.94%)는 전체 빈집 가운데 아파트 비중이 70%를 훌쩍 넘었다.

 

가파른 빈집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지난 6월 국토부는 김포·파주·연천·동두천·포천·가평·양평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경기도 전 지역을 부동산 가격 상승을 이유로 조정대상 지역으로 묶었다. 이 가운데 구리, 수원, 화성(동탄 2지구) 등 빈집이 많은 것으로 조사된 일부 지역은 투기 과열지구로 지정됐다. 이들 지역의 경우 부동산 가격 안정과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진행된 신도시 개발과 재건축·재개발이 오히려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채질한 셈이다.

 

이처럼 오늘날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가격 상승은 단순히 ‘주거 공간’ 부족에서 기인하지 않는다. 매력적인 ‘투자 상품’을 원하는 시장과 이를 이용하는 투기 세력의 합작품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지속적인 재개발과 재건축을 통해 매력적인 투자 상품이 끊임없이 시장에 나오길 원한다. 최근 정부가 내놓은 알짜 국공유지와 한강변 아파트 단지의 용적률 상향도 이들의 바람과 다르지 않다.

 

결국, 부동산을 하나의 상품으로 보는 기존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주택의 상품성이 아니라, 주민 스스로 공동체를 구성하고 정주의식을 가질 수 있는 ‘주거 공간’을 조성하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그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만 40만 채가 넘는 빈집과 구도심이다. 예컨대 임대주택을 짓더라도 새로운 택지를 조성하기보다 기존 빈집을 매입하거나 장기 임대하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주민이 주도하는 마을관리협동조합을 통해 이들이 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주택이 마련되도록 지원하고, 교통, 학교, 의료, 일자리 등 부족한 주거 인프라도 마련해야 한다. 투자 매력도가 작은 곳에서 의외의 답이 나올 수 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