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김정일 "적절한 시기 답방"

4월訪中때 공식 확인..DJ측 전언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지난 4월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적절한 시기에 남조선을 방문할 것"이라고 직접 답방 의사를 밝힌 것으로 4일 확인됐다.
지난 29일부터 3일까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수행하고 돌아온 김한정 비서관은 이날 "김정일 위원장이 4월 중국을 방문했을때 그를 직접 만났던 중국 정부의 고위 인사로부터 들은 얘기"라면서 이같이 전했다.
김 비서관은 이 중국측 고위 인사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인사"라면서도 구체적인 이름은 밝히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이 중국측 고위인사에게 "답방을 하게되면 김대중 전 대통령도 만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김 비서관은 전했다.
그동안 김 위원장의 답방에 관해 북한 정부 관계자들의 간헐적인 언급은 있어왔지만, 김 위원장이 직접 `답방할 것'이라고 밝힌 것은 처음이다.
김 위원장의 답방은 2000년 `6.15 공동선언'에 명기됐으나 미국 부시행정부의 등장과 한국 대선, 북핵문제 대두 등으로 4년째 실현되지 못해오다가 최근 남북 군사부문 회담이 본격화되고 개성공단 시범단지 준공식 개최 등 분위기가 호전되면서 그의 답방에 대한 기대감도 커져왔다.
북한 문제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오는 10월말 예정인 경의.동해선 시범운행에 즈음해 김 위원장이 열차로 답방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다만 국가보안법 문제와 6자회담 진행 상황 등이 변수"라고 연내 답방 가능성을 시사했다.
앞서 김 전 대통령은 지난 6.15 4주년 기념 남북 심포지엄과 6.15 관련 각종 언론 인터뷰를 통해 김 위원장의 답방을 수차례 촉구한 바 있으며, 최근 김 전 대통령을 만난 장쩌민 중국 중앙군사위 주석도 "김 위원장의 답방을 권유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김 전 대통령측은 최근 일부 언론의 `DJ 2차 방북설', `북측 특사 면담설'등과 관련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면서 "김 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답방이 6자회담 성공에 도움이 되고, 남북관계를 굳건히 하고 또 진전시킬 수 있는 토대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