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개최 문제가 연일 정치권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청와대가 `남북정상회담 조기 개최설'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공식 부인했음에도 불구하고 ▲9월 남북러 3자 정상회담설 ▲11월 미 대선전 남북정상회담설 등 그럴싸한 시나리오들이 계속 흘러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7일엔 북한에서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모종의 역할을 주문했다는 얘기까지 보태지면서 여야간 공방도 거세지고 있다.
민주당 장성민 전 의원은 7일 지난 달 6.15 남북정상회담 4주년 기념식 참석을 위해 서울을 방문했던 북한 대표단의 고위급 인사가 김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 방침을 확인하면서 정상회담 분위기 조성을 위한 한나라당 박 전 대표의 역할을 주문했다고 주장했다.
북측 고위인사는 리종혁 아태평화위 부위원장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일각에선 이 자리에서 지난 2002년 북한을 방문, 김 국방위원장을 만났던 박 전 대표가 두번째 북한 방문을 초청받았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이 부위원장과는 간단하게 악수만 하고 지나쳤을 뿐"이라며 "북한으로부터 방북초청을 받은 바 없고 방북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원론적으로 남북긴장 완화와 평화정착을 위해 도움이 되는 일이 있으면 하겠다는 뜻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혀 주목된다.
박 전 대표는 지난 달 18일 일본 마이니치신문과의 인터뷰에서도 자신의 `북핵특사설'에 대해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핵문제를 포함, 할 수 있는 일은 뭐든 적극적으로하겠다"고 밝히는 등 지금까지 대북정책에 있어 초당적 협력을 강조해왔다.
박 전 대표는 7일 "정부가 핵문제 해결전까지는 어렵다고 밝힌 상황에서 야당으로서 이런 저런 얘기를 할 처지가 아니다"고 전제하긴 했지만 남북관계 돌파구 마련을 위한 자신의 역할에 대해선 적극적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게 정치권의 해석이다.
남북정상회담을 둘러싼 국내외적 관심이 높아지자 정치권에서도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을 촉구하는 한편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남북정상회담 개최의 필요성을 적극 역설하고 나섰다.
장영달 의원은 이날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에서 "남북정상회담을 통해서 북핵 문제해결의 고리를 찾을 수 있다면 사전조율을 통해 서둘러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 성 의원은 "정부가 정상회담의 시기, 구체적 추진 내용 등 정상회담에 대한 전략적 고려 즉 주체적인 로드맵을 만든 뒤 주변국에 도움과 협력을 받는 형태로 정상회담이 추진돼야 한다"면서 "추진 자체가 목적이 돼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여권이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한다"는 의혹을 떨치지 못하며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초당적.공개적으로 추진할 것을 요구하고 나서 대조를 이뤘다.
김형오 사무총장은 이날 상임운영위 회의에서 "남북정상회담 조기 개최설이 구체적 회담장소까지 거론되는 등 슬슬 나오고 있는데 먼저 김정일 답방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2차 정상회담이 이뤄진다면 지난 2000년처럼 밀실깜짝쇼, 뒷거래흥정식 회담이 돼서는 안되며 국민적 합의에 의해 개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