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 중인 국민임대주택 건설과 관련 도내 일부 주민들이 재산권 침해와 환경파괴를 이유로 집단 반발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8일 도에 따르면 정부는 국민임대주택 100만호 건설계획 일환으로 수원, 의정부, 양주, 시흥 일대 330만여평에 6만9천여세대를 입주시키기 위해 택지개발계획을 확정하고 주민공람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택지개발지역 주민 5천여명은 그린벨트를 해제하면서까지 국민임대주택을 건설할 경우 재산권 침해는 물론 환경파괴까지 우려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우선 수원시에는 94만6천평의 호매실지구(호매실, 금곡, 당수, 오목천)에 5만7천명을 수용하기 위해 1만9천세대가 공급된다.
141만5천평의 시흥 장현.목감 지구(장현, 장곡, 하중, 능곡, 군자, 목감, 조남, 산현, 물왕)에도 8만1천명을 입주시키기 위해 2만6천세대가 조성된다.
하지만 이 지역 주민 3천여명은 지금까지 그린벨트로 묶여 재산권 행사를 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임대주택단지가 조성될 경우 낮은 보상가격으로 재산상 불이익을 받는다며 주택 건설 최소화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의정부시에는 민락2지구(민락, 낙양동)로 79만2천평에 1만5천500세대(4만6천명)가 들어서고 양주시(마전동 일원)에는 마전지구 42만6천평에 8천700세대(2만6천명)가 각각 들어선다.
그러나 이 지역 2천여명의 주민들은 임대주택 최소 건설과 함께 그린벨트 해제 시 환경파괴가 우려된다며 친환경적인 전원주택 공급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건교부 관계자는 “해당 시에 주민공람 단계에서 주민들과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건의토록 했다”며 “도로건설과 규제완화 등 해당시가 희망하는 지역개발과 최대한 연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