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29일 최종보고회를 열고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인천복지기준선을 발표했다. [ 사진 = 인천시 제공 ]](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01044/art_16039434698808_90b3ea.jpg)
인천시민들이 직접 참여해 만들어진 인천복지기준선이 공개됐다.
인천시는 29일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인천복지기준선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복지기준선은 시민생활과 밀접한 ▲소득 ▲건강 ▲주거 ▲교육 ▲돌봄 등 5개 영역의 최저기준과 적정기준으로 마련됐다.
인천 복지기준선 설정은 민선7기 시정부의 시정 전략 중 맞춤형 복지부문의 핵심과제로 추진돼왔다.
영역별 적정기준을 보면 소득영역은 OECD 상대적 빈곤선(중위소득 50% 이상)을 향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건강영역은 시민의 건강수준 향상 및 건강격차를 해소하기로 했다.
주거영역에서는 주거여건 격차를 최소화하고 시민에 대한 공공 주거서비스의 접근성을 최대한 보장하기로 했으며, 교육영역의 경우 성인 평생교육 참여율을 40% 이상 보장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돌봄 대상을 아동·장애인·어르신으로 분류해 ‘누구나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설정했다.
시는 복지기준선 실현을 위한 핵심과제로 ▲인천형 기초보장 제도 시행 ▲일자리 확대를 통한 소득향상 지원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공공임대주택 확충 ▲다함께 돌봄센터 확충 등 29개 중점과제와 118개 실행과제를 마련했다.
이를 위해 시는 향후 5년 간 시비 2조4000억 원을 포함, 총 10조80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날 발표된 복지기준선은 추진위원회와 시민평가단, 연구진, 공무원 등 200여 명이 넘는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가운데 지난해부터 70여 차례의 회의와 토론과정을 거쳐 나왔다.
박남춘 시장은 “인천 복지기준선은 시민 누구나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적정 수준의 생활 기준을 구체적으로 정한 것”이라며 “오늘 복지기준선 발표를 시작으로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복지정책이 반영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 쓰고 챙기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