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미국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의 승리에 한목소리로 축하의 뜻을 밝혔다.
한미동맹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으로 공감하면서도 북핵 등 한반도 이슈의 각론에서는 우려와 기대가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더불어민주당 허영 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승리를 축하하며 "새 미국 지도부가 이제 한국과의 경제 군사 동맹을 넘어 평화 동맹까지 추진하길 바란다"고 했다.
그는 바이든 후보를 향해 "조속히 한국을 방문해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낙연 대표는 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신임 대통령의 주요 정책과 어젠다가 검토되는 100일 이내에 새로운 행정부 인사와 네트워크를 쌓고 한반도 문제를 조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국회 차원의 방미 계획을 밝혔다.
국회 외통위원장인 송영길 의원은 통화에서 "오바마 정부 때와 달리 지금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능력을 갖췄다는 점에서 차기 미국 정부가 북핵 상황을 방치할 순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트럼프 정부가 추진해온 북미 비핵화 대화가 정권교체를 계기로 원점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우려에 선을 그은 것이다.
민주연구원 원장인 홍익표 의원도 "미국 내에서도 오바마 정부의 전략적 인내가 사실상 북핵 문제를 제어하지 못했다는 비판적 평가가 있다"며 "실패한 정책을 바이든 정부가 반복할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김은혜 대변인은 구두 논평을 통해 축하 인사를 전하며 "한미동맹을 더욱 굳건히 하고 발전적 관계로 나아갈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미국 국민들은 변화를 택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에서도 변화와 혁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공허한 한반도 운전자론, 또 한미동맹을 폄훼하는 각종 발언으로 한미관계를 부정한 문재인 정부의 과거 또한 개선의 계기를 맞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바이든 정부는 민주주의 동맹을 가장 선호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며 "이는 중국과 미국의 갈등 구조가 더 심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위치를 차지해야 할지 사전에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미국 대선 의미에 대해서는 "우편 투표가 1억표를 넘었다는 것은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미국 국민의 신뢰가 깨졌다는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결과에 불복한다지만, 미국의 상식이 (불복을) 허용하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주호영 원내대표도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대통령과는 다른 정책을 쓸 것으로 보인다"면서 새로운 대미외교 정책 수립을 위한 초당적 협력 의사를 밝혔다.
주 원내대표는 '바이든 표 한반도 정책'에 대해 "한미동맹(에 관한) 입장은 우리의 입장을 좀 더 이해하는 것 같고, 북핵 문제에 관해서는 비핵화가 먼저 진전돼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국민의힘과 비슷하다고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