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검찰총장이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 조사에서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윤 총장의 지지도 급상승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민심의 깊은 반영일지 향배가 주목된다.
11일 쿠키뉴스가 여론 조사기관인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진행한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조사에서 윤 총장은 24.7%로 가장 많은 지지도를 보였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2.2%로 집계됐다. 윤 총장과 이 대표의 지지율 격차는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18.4%로 나타났다.
양강 주자인 이 대표와 이 지사의 지지율이 20% 안팎 `박스권`에서 정체현상을 보이는 가운데, 윤 총장이 급부상 하면서 `3자 구도`로 재편되는 흐름이 굳어지는 양상이다.
윤 총장은 지난해 조국 사태 이후로 추미애 법무부 장관 등 여권 인사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존재감을 키웠다. 특히 작심 발언을 쏟아낸 지난달 대검찰청 국정감사를 기점으로 지지율이 급등했다.
당시 국감장이 ‘윤석열 총장을 위한 무대였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여권의 압박이 오히려 그의 ‘몸집’을 키웠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이같은 현상에 예의주시하면서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당내 최다선인 정진석 의원은 "선거의 계절이 되면 국민들의 시선은 새 인물을 먼저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고 전제한 뒤 "국민들은 문재인 정권을 심판해줄 사람이 누군지 찾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수야권 입장에서는 '바닥 민심'에 정권 견제론이 형성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야권 내부에 윤 총장을 대체할 만한 주자가 부상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 대해서는 고민이 깊은 분위기다.
실제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 등은 "현직 검찰총장을 대선주자로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윤석열 총장의 급부상은 야권 내 차기 대선주자들의 발걸음을 재촉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승민 전 의원은 오는 16일 부동산 문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여의도 복귀' 행보를 시작한다.
현직인 원희룡 제주지사도 틈날 때마다 중앙 정치 무대를 향해 경제 교육 정책 관련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다. 전날에도 오신환 전 바른미래당 의원이 주도하는 정치 플랫폼 카페 '하우스'를 찾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