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1.5단계로 격상하면서 프로스포츠의 관중 입장도 조정되게 됐다.
먼저 KBO는 20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리는 2020 신한은행 쏠(SOL) KBO 한국시리즈(KS) 두산 베어스와 키움 히어로즈의 3차전부터 관중 입장을 구장 수용 규모의 50%에서 30%로 줄이기로 하고 온라인 예매 때 이같은 내용을 중점 홍보할 계획이다.
17∼18일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KS 1∼2차전은 수용 규모의 50%인 8천200명의 관중이 입장할 수 있다.

한국배구연맹(KOVO)도 19일 0시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1.5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20일부터 수도권에 연고를 둔 팀들의 홈 경기부터 입장 관중 비율을 30%로 조정하기로 했다.
프로배구 남녀 13개 구단 중 남자부 의정부 KB손해보험, 안산 OK금융그룹, 인천 대한항공, 서울 우리카드, 수원 한국전력, 여자부 인천 흥국생명, 화성 IBK기업은행, 수원 현대건설, 서울 GS칼텍스 등 9개 팀이 관중 비율 30%로 조정된다.
KOVO 관계자는 “콜센터 집단 감염 여파로 충남 천안시가 5일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를 1.5단계로 격상하면서 천안 현대캐피탈이 천안유관순체육관에 들어오는 입장객 수를 30%로 제한했다”며 “수도권에 홈을 둔 다른 구단도 방역 당국의 지침에 따라 20일부터 관중을 50%에서 30%로 줄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프로축구는 K리그1(1부리그) 일정이 모두 끝난 거운데 대전 하나시티즌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서 연기된 K리그2 3경기와 준플레이오프(준PO) 1경기, 플레이오프(PO) 1경기 등 총 5경기를 남겨두고 있다.
남은 5경기 중 수도권 개최가 확정된 경기는 21일 치러지는 서울 이랜드-전남 드래곤즈 전과 29일 수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수원FC의 플레이오프 등 2경기다.
준플레이오프는 아직 대상 팀이 정해지지 않아 수도권 개최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
서울 이랜드는 전남 전에 2만8천58석의 좌석 가운데 12.5%에 해당하는 3천500석만 운영하기로 했고 수원FC도 강화된 기준에 따라 가용 좌석 6천석 가운데 1천800석만 입장시키기로 했다.
한편 프로농구는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게 됐다.
KBL은 10월 9일 무관중으로 2020~2021시즌 개막했다가 10월 17일부터 경기장 수용 규모의 20% 중반으로 관중 입장을 허용했고 이달 7일부터는 50%로 확대했지만 19일 경기까지 치르고 난 뒤 20일부터 12월 1일까지 2021 국제농구연맹(FIBA) 아시아컵 예선에 따른 A매치 휴식기로 리그가 중단된다.
KBL은 리그가 재개되면 관중 입장을 30%로 조정할 계획이다.
지난 달 31일부터 휴식기에 들어간 WKBL도 22일 부천 하나원큐-청주 KB(부천체육관)의 대결로 리그를 재개하면서 유관중으로 전환할 예정이지만 이미 입장 가능 인원을 안전을 위해 각 구단 홈구장 전체 수용 인원의 30% 이내로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