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4차 전국항만기본계획’에 평택항 인입철도 건설을 위한 부지매립 계획이 반영되면서, 그동안 진척이 더뎠던 ‘포승~평택 단선철도 건설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사업은 2010년 11월 처음 시작 이후 2015년 2월 ‘1공사구역(평택~숙성)’을 개통했으며, ‘2공사구역(숙성~안중)’은 2017년 5월 착공해 현재 공사가 한창이다. 다만 나머지 ‘3공사구역(안중~포승)’은 노선이 먼 바다로 이어져 평택항 부지매립이 반드시 선행돼야만 추진이 가능했다. 총 연장은 30.3㎞ 사업비는 7168억 원이 투입된다.
도는 그동안 안중~포승 지역 노선의 필요성을 해양수산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했고, 해수부는 지난해 12월 30일 고시한 ‘제4차 전국항만기본계획’에 포함되는데 성공하게 됐다.
만약 해양수산부의 10년 단위 국가계획인 ‘제4차 전국항만기본계획(2021~2030)’에 매립계획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철도사업 추진이 10년 이상 지연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계획에는 철도 건설 부지(항만시설용부지(지원시설) 251만3000㎡, 항만배후단지 444만9000㎡) 총 696만2000㎡에 대한 세부 매립계획이 담겼다.
도는 이번 계획을 토대로 오는 2030년 내에 부지매립과 함께 ‘포승~평택 단선철도 건설 사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지속 협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계삼 철도항만물류국장은 “포승~평택 단선철도 3공사구역 건설 사업은 평택항 및 현덕지구의 활성화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며, 나아가 대한민국을 횡단하는 중요한 동서축을 담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고태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