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서울동부구치소 안에서 지난해 11월부터 현재까지 두 차례 집단감염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처음에는 구치소 직원을 중심으로 일어난 뒤 무증상 신규 입소자를 중심으로 재차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은 20일 법무부와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실시한 서울동부구치소 내 코로나19 집단감염 역학조사 중간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날까지 동부구치소 내 확진자는 1203명(사망 2명)으로 집계됐다. 구치소 직원 가족 등 관련 확진자를 포함하면 확진자는 더 많아진다.
누적 발병률을 보면 직원(552명)은 4.9%(27명 확진), 수용자(2738명)는 42.9%(1176명 확진)로 집계됐다.
방역당국은 모두 10차례 전수조사에서 1만5000여 건을 검사했으며 현재는 진정세에 접어든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역학조사 결과 구치소 안에서도 집단감염이 두 차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지난해 11월부터 12월 초까지 직원 중심의 1차 유행이 있었고, 12월 중순 이후에는 무증상 신규 입소자가 유입되면서 수용자 중심의 2차 유행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근거로는 1·2차 유행 간 역학적 접점이 관찰되지 않았고 바이러스의 유전적 유사성이 낮았다”며 “또 1차 유행하는 동안 수용자의 양성률이 매우 낮았다는 점에서 두 차례 유행은 각각 유입 경로가 다른 것으로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이후 2차 집단감염 초기에는 신규 입소자가 많은 8층과 미결수용자의 발병률이 높고 신규 입소자와 추가 확진자 간 바이러스의 유전적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방역당국은 구치소 내 코로나19 유행과 관련해 잠복기의 신규 입소자를 통한 수용동 사이, 층 사이 감염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동부구치소는 수용자가 신규 입소할 때 최초 1주간은 1인 격리, 다음 1주간은 신규 입소자 간 다인실 내 공동 격리 체계로 운영 중이다.
정원을 초과한 과밀 수용 환경과 구치소 내 공동생활, 법원 출정과 변호사 접견 등 수용자 간 접점이 많은 미결수용자 중심의 구치소 운영 특성이 코로나19 확산 원인으로 꼽혔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이달 8일부터 교정시설 집단 대응 지침을 마련하고 신규 수용자의 경우 14일간 예방격리 및 혼거실 이동 전 일제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 경기신문 = 김기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