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준 고양시장과 정하영 김포시장, 최종환 파주시장은 3일 오전 일산대교 영업소에서 ‘일산대교 통행료 무료화’를 촉구하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일산대교는 한강을 가로지르는 27개 교량 중 유일한 유료 교량일 뿐만 아니라 1㎞당 통행료가 660원으로 주요 민자도로 보다 6배 이상 높다”고 밝혔다.
이어 “일산대교는 교통 소외지역인 경기 서북부 시민의 교통권 확대를 위해 설치됐지만 높은 통행료 징수로 시민들의 교통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일산대교 관리 주체 대주주인 국민연금공단이 교량 설치 시 투자한 비용(차입금)에 대해 고금리 이자를 적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2008년 5월 개통된 일산대교는 최소운영수입보장(MRG) 협약으로 손실 위험이 적었음에도 인수 당시 고금리 이율을 적용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후순위차입금 360억원의 경우 20%라는 고금리를 책정, 막대한 이자를 통행료라는 명목으로 일산대교 이용자에게 부담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또 일산대교 통행량은 개통 당시보다 3배 이상 증가해 수익성은 이미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3개 시장은 경기도의 일산대교 통행료 문제 해결을 위한 움직임을 적극 지지하며 사업 인수를 통한 무료화가 관철될 때까지 함께 행동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기도-국민연금공단 간 협상에 3개 시가 참여할 수 있게 해 달라고 경기도에 요구했다.
앞서 경기도는 ‘과다한 통행료’ 징수로 민원이 지속되는 일산대교 통행료 인하방안에 대해 다각적인 검토를 중이며 일산대교 매입도 고려하고 있다.
민간투자사업으로 건설된 일산대교는 고양시 법곶동과 김포시 걸포동을 연결하는 총 길이 1.84㎞, 왕복 4~6차선 규모로 2008년 5월 개통됐다.
일산대교 대주주는 국민연금공단이며 30년간 통행료를 받기로 협약했고, 현재 차종에 따라 소형 1200원, 중형 1800원, 대형 2400원을 지불한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국민연금공단은 ‘기금수익 악화’라는 공익을 빙자해 사업구조·경영개선을 위한 최소한의 노력도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제라도 204만 고양·김포·파주시민의 교통권을 확보해야 한다”며 “사업기간 연장을 통한 통행료 인하 방식이 아닌 사업권을 인수해 무료화 방안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고양 = 고태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