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월미도와 자유공원 일대 고도제한을 완화하려 하자 인천발전연구원과 시민단체가 지주와 이에 편승한 일부 주민들의 집단이기주의에 굴복한 처사라며 반발하고 나서 갈등을 빚고 있다.
2일 인천시와 인천발전연구원 등에 따르면 인천시는 월미도 일대 8만여평을 현행 준주거지역에서 상업지역으로 변경하고 건물의 높이를 해안가는 3층에서 5층으로, 그 배후는 2층에서 7층으로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 지구단위계획 용역을 수행중인 인천발전연구원은 우수한 조망권 유지를 위해 도시계획상 용도를 그대로 준주거지역으로 하고 건물 높이도 해안가는 기존과 같이 3층으로, 배후지역은 4층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와 인천발전연구원의 이같은 차이는 월미도를 바라보는 해상의 조망위치가 서로 다른데서 기인하고 있다.
인천시는 영종도와 월미도 중간 지점인 해안가로부터 700m 지점에서 바라본 반면 연구원은 월미도 해안가에서 가까운 곳을 조망 기점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또 시는 자유공원 주변 18만평에 대해서도 현행 2종 주거지역을 그대로 유지해 200%의 용적률을 적용시키고, 층수도 4층 이하로 규제하자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인발연은 기존 4층 이하 건물이 있는 지역은 1종으로 강화, 기존건물 층수(1∼4층)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그외 4층 이상의 건물이 있는 지역을 포함해 일부지역은 현행과 같이 2종으로 두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여기에 인천도시환경연대회의도 최근 "월미도 고도제한 완화는 지주와 이에 편승한 일부 주민들의 집단이기주의에 굴복하는 것으로 도시 경관을 크게 훼손하게 될 것"이라며 고도제한 완화를 비판하고 나섰다.
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이들 지역은 20년 이상 과도하게 건물고도가 제한돼 주민들에게 피해를 준 것이 사실"이라며 "조망권과 재산권이 적절히 조화되도록 인발연과 협의해 늦어도 내주초까지 지구단위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