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5일 신행정수도 건설에 따른 제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국회내 특위를 구성하고 각계 의견 수렴을 위한 `국민대토론회' 개최 문제를 논의키로 했다.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가 지난 4일 "정체성 문제를 갖고 전면전을 할 생각은 없다"고 밝히면서 `국가 정체성' 논란은 소강 국면에 접어든 반면, 그동안 잠복해있던 최대의 정책 현안인 신행정수도 건설 문제가 수면위로 재부상하고 있다.
열린우리당 김한길 신행정수도대책특위 위원장은 이날 영등포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신행정수도 건설 문제에 대해 국민 의견을 폭넓게 청취하기 위해 `신행정수도 국민대토론회'(가칭)를 개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당 이종걸 수석원내부대표는 "한나라당이 신행정수도 건설의 원점재검토를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면 국회내 특위에서 논의하고 이를 위한 국민대토론회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수석부대표는 또 "천정배 원내대표가 일본에서 귀국하면 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를 만나서 행정수도 문제와 다른 현안들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해 여야 원내대표 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오는 11일로 예정된 정부의 행정수도 이전 최종후보지 선정 방침을 보류할 것을 공식 촉구하는 한편, 원점 재검토를 조건으로 하지 않고 국회내 특위를 설치해 검증하자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정부의 행정수도 이전 강행 계획에 맞서기 위해 당내에 `수도이전문제 대책위'를 설치키로 했으며, 행정수도 대신에 행정도시, 행정특별시 등의 개념을 사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박근혜 대표는 "11일 행정수도 이전 최종 후보지 선정은 국민의 합의를 얻지 않았기 때문에 보류돼야 한다"고 말했고, 김덕룡 원내대표도 "행정수도 이전 최종 후보지 선정은 보류하고 국회를 통해 의견 수렴을 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한구 정책위의장은 "행정수도 이전이나 반대를 전제하지 않고 특위를 설치한후 철저한 검증을 통해 수도이전을 결정하자는게 원래 당론"이라며 "수도이전 검증을 위한 국민대토론회에 찬성하지만, 국회내 특위를 먼저 구성해 특위 주최로 토론회를 열어야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야가 국회내 특위와 국민대토론회 개최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기는 하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상당한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어 실제로 특위가 구성되기 까지는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우리당은 오는 11일 최종후보지 선정 등 행정부의 행정수도 이전사업 추진을 예정대로 진행하면서 문제점을 점검하자는 입장인 반면, 한나라당은 행정부의 일방적 독주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행정수도 이전과 중단 중 어느쪽도 전제하지 않는 특위 구성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 여야는 한나라당이 지난 4일 정부의 행정수도 이전 계획의 문제점을 11개항목에 걸쳐 지적한 공개 질의서를 이한구 정책위의장 명의로 청와대에 전달한 데 대해 우리당 김한길 특위 위원장이 기자간담회를 반박하는 등 논쟁을 계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