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6일 중국 정부의 고구려사 왜곡 및 자국 외교부 홈페이지에서의 한국사 삭제 문제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국회내 대책기구를 구성키로 하는 등 공동 대응에 나섰다.
열린우리당 천정배 원내대표와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 등 여야지도부는 이날 각각 기자간담회와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이 `동북공정'을 통해 고구려사를 자국 역사로 편입하려 하고 외교부 홈페이지에서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의 한국사를 삭제한 것을 "한민족의 뿌리를 흔드는 일"이라며 강력히 성토했다.
여야 지도부는 또 정부의 단호한 대처와 국회내 대책기구 구성, 남북한 공동대응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에 따라 여야는 수석원내부대표 회담을 통해 국회내에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한 특위를 구성하거나 통일외교통상위, 교육위, 문화관광위 등 관련 상임위원회 연석회의를 여는 방안 등에 대한 논의에 착수했다.
박 대표는 그러나 "정부의 소극적 대응이 이와 같은 결과를 초래했다"면서 역사문제에 대한 정부의 국내외 대응 방식이 다르며 `이중잣대'라고 정부의 대응방식을 강력히 비판했다.
또 우리당 노웅래, 한나라당 이재오 의원 등 여야 의원 44명은 이날 오후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중단, 범정부적 대처, 남북 공동대응 등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했고, 오는 11일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정부와 정치권, 학계 인사들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갖고 대응책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와는 별도로 김원웅 의원 등 여야 의원들은 1909년 일본과 청나라 사이에 맺어진 간도협약의 원천 무효화를 주장하는 결의안 제출을 추진중이다.
여야 의원들은 이날 한 목소리로 중국의 역사왜곡 시도를 강력히 규탄하고 정부와 정치권, 학계의 체계적인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우리당 임종석 대변인은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우리의 국가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에 관한 문제이므로 주권 차원에서 대응해야 하며 여야가 있을 수 없다"고 지적했고, 한나라당 전여옥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기네 역사로 하는 것은 바로 우리의 민족혼을 빼앗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회 `민족정기의원모임'(회장 김희선 의원)도 이날 성명을 통해 "중국의 음모는 역사왜곡의수준이 아니라 명백히 우리 역사주권을 침해하는 역사 강탈 행위"라며 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다.
한편 주한 중국대사관은 한나라당 소속 국가발전연구회 소속 의원 8명이 고구려사 유적 방문을 위해 신청한 방중(訪中)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가 파문이 일자 비자를 발급키로 입장을 바꿨고, 같은 목적으로 중국을 방문하는 우리당 `바른정치모임' 소속 의원들에 대한 비자도 조만간 발급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