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3 (월)

  • 맑음동두천 24.2℃
  • 맑음강릉 23.7℃
  • 맑음서울 23.9℃
  • 맑음대전 24.0℃
  • 맑음대구 24.4℃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25.2℃
  • 맑음부산 22.2℃
  • 맑음고창 21.7℃
  • 맑음제주 20.5℃
  • 맑음강화 20.5℃
  • 맑음보은 23.6℃
  • 맑음금산 23.3℃
  • 맑음강진군 24.6℃
  • 맑음경주시 23.8℃
  • 맑음거제 23.0℃
기상청 제공

[기고] 양봉산업을 바꾸기 위한 현장의 목소리

 

“우리나라 양봉산업은 달라져야 한다.”

 

얼마 전, 경기도양봉연구연합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양봉산물 유통개선을 위한 조직화 방안’이라는 제목의 화상회의 교육 중 해당 강사인 협동조합의 한 관계자가 한 말이다. 교육내용을 보자면, 우선 생산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 꿀벌 사육 봉군수는 1999년에 1081천군에서 2018년에 2592천군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봉군수 50군 미만의 소농・취미농 비율이 46.4%로 전체 양봉농가의 약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고, 꿀벌이 먹는 꽃가루・수액의 원천인 밀원식물의 조성 면적은 2만2884ha(㎢당 21.5군)으로 과거에 비해 1/6 수준으로 떨어져 밀원 부족으로 인한 꿀벌의 수명 단축 등 양봉산업 발전에 좋은 조건들이 아니다.

 

다음으로 가공・유통・소비 측면을 보면, 사양벌꿀과 수입벌꿀이 점점 더 늘어나 천연벌꿀 양봉업자가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고, 양봉산업의 핵심이 과거 벌꿀, 로열젤리, 화분과 같은 양봉산물 생산에서 미래에는 화분매개로 옮겨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화분매개분야에 발달이 저조한 실정이다. 그리고 각 조사기관마다 벌꿀 직거래 비율이 모두 달라 전체 유통경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고, 농가등록제에 대해 ‘현실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농가반발도 커 실제 전체 양봉산업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해 양봉산업 분석 및 정책도출을 위한 DB화가 어렵다. 벌꿀은 설탕을 대신할 일종의 감미료인데 벌꿀마저도 알룰로스, 자일리톨 등 대체재가 신속히 개발되고 있으며 벌꿀스틱, 꿀 소형화 등으로 온라인 벌꿀 판매가 늘어나고 있지만, 양봉산물에 대한 안전성・위생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양봉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성, 공익적 기능 등을 고려한 정책 패러다임이 제시되어야 하고, 정책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50~99봉군의 중소농의 양봉농가들을 100군 이상 대농으로 키울 수 있도록 하되, 소농 및 중소농도 양봉산업구조의 밑바탕 역할을 하므로 국가경쟁력 향상 및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관심을 가져주어야 하며, 양봉산업의 사회적・환경적 가치를 확장하기 위한 이슈 대응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수입과일, 과채류 소비가 많이 늘어났듯이 딸기도 작년의 경우 소비가 엄청 늘어나 산업규모가 2배로 성장하게 되었는데 마찬가지로 양봉도 이제는 벌꿀과 같은 양봉산물 생산을 늘리는 것에서 점점 성장하고 있는 원예농업에 발맞춰 화분매개 시장 확대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귀농・귀촌 대상자에게 전문가 양성 심화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전문화된 산업주체도 육성하고, 지역 양봉의 리더들이 지역단위에서 양봉산업의 구조를 조직화하고 협력기반으로 간담회, 세미나 등을 개최하는 등 지역의 양봉연구회, 양봉협회, 시군-도 지자체 등 양봉산업의 미래 지도를 그려야 한다. 정부 보조금에만 눈독을 들일 것이 아니라 양봉에 관한 법과 제도를 마련해달라고 현장의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 품질을 높여 개방화에 대비하고 원예농가, 양봉농가 등 서로 산업주체 간 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해야 한다.

 

우리나라 농림업 생산 규모는 약 52조 1900억 원 정도인데, 그 중 양봉산업은 약 5600억 원으로 비율이 작지만, 최첨단 소재・제약・화장품 등의 산업과 더불어 양봉도 전방위적으로 산업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 2015년 베트남 FTA 체결로 2029년 베트남 양봉산물이 무관세로 수입되면 우리나라 양봉산업이 살아남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대해 ‘고품질’, ‘기술력’, ‘다각화’ 등으로 우리나라 양봉산업은 대비해야 할 것이다.

 









COVER STORY